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처음 열린 16일 국회 긴급현안질문에서 박 전 대통령의 수사 회피와 청와대의 증거인멸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유력 대선 주자인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집중 공격했다.
국회 탄핵소추위원이었던 이춘석 민주당 의원은 “박 전 대통령이 아프다는 이유로 수사를 피할 것이라는 소문이 있다”며 박 전 대통령 소환 불응 시 검찰의 대처 방안을 물었다. 이창재 법무부 차관은 “박 전 대통령 변호인 측도 출석하겠다고 확고하게 답변했다. 출석하리라 믿는다”고 답했다. 이 차관은 박 전 대통령 신분을 피의자라고 한 뒤 “검찰에서 법과 원칙대로, 정해진 절차대로 (수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에는 “검찰에서 법대로 할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김광수 국민의당 의원도 “박 전 대통령이 친박(친박근혜) 호위무사들과 삼성동 사저에 진지를 구축하고 있다”며 “파면된 사람이 마치 독재정권에 의해 가택연금당한 민주화 투사인 양 착각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청와대의 증거인멸 우려에 대한 문제제기도 이어졌다. 백혜련 민주당 의원은 청와대의 문서세단기 대량 구입을 언급하며 “명백한 증거인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홍윤식 행정자치부 장관은 “사용연한에 따라 교체주기 11년이 지났기 때문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한국당 의원들은 개헌, 안보관 등을 들며 문재인 전 대표를 향해 화력을 집중했다. 윤상직 의원은 ‘미국에도 노(No)라고 외칠 수 있어야 한다’는 문 전 대표의 뉴욕타임스 인터뷰에 대해 “북한과 중국에 먼저 노라고 말해야 한다”고 몰아붙였다. 강효상 의원도 문 전 대표를 겨냥해 “개헌 발의는 국회나 정부가 하도록 헌법에 명시됐는데, 한 유력 대선 후보는 국회의 개헌안 발의 준비를 비난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의 추가 핵·미사일 위협과 중국의 ‘사드 보복’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과 관련해 “북한은 지휘부 결심만 있으면 언제든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상태”라고 보고했다.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은 중국의 보복 조치에 대해 “내정간섭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탄핵 이후 정국 안정을 위해 열린 이날 긴급현안질의에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출석하지 않았다. 대다수 국회의원들도 회의 도중 자리를 비우며 현안 질의 취지를 무색하게 했다. 국회 관계자는 “269명이 출석한 것으로 집계됐지만, 대부분 회의 도중 자리를 비웠다”고 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朴 꾀병 불응 소문·靑 증거인멸 논란 집중 추궁
입력 2017-03-16 18:21 수정 2017-03-16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