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는 심리다. 시장 참여자들이 가장 싫어하는 건 불확실성이다.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심리는 장밋빛으로 무게중심을 옮긴다.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시장의 예측에 어긋나지 않는 ‘스텝’을 밟았다. 동시에 연준은 올해 두 번 더 금리를 올리겠다고 예고했다. ‘글로벌 초(超)저금리 시대’의 퇴장을 선언한 것이다.
‘저성장 늪’에 빠진 우리 경제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하듯 금융시장은 환호했다. 다만 장기적으로 우리 경제는 ‘가계부채 악화’ ‘자본유출 심화’ ‘경기 둔화’라는 암초에 맞닥뜨릴 수 있다.
미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현지시간 15일 현재 0.50∼0.75%인 기준금리를 0.75∼1.00%로 올렸다. 지난해 12월(0.25% 포인트 인상) 이후 3개월 만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이후 처음으로 미국의 기준금리가 1%대로 복귀하게 됐다. 이는 미국 경제 회복의 자신감을 반영한 조치다.
주식시장은 강한 상승세를 보였다. 16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7.08포인트 뛴 2150.08로 마감하며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종가 기준으로 2150을 돌파하기는 2015년 4월 25일(2157.54) 이후 23개월 만이다.
이유는 두 가지다. 먼저 인상 속도와 폭이 예상을 벗어나지 않았다. 한국은행은 긴급 통화금융대책반회의를 연 뒤 “연준의 금리 인상이 예상에 부합했고, 향후 정책금리 예상 경로도 종전과 같아 인상 속도 가속화 우려가 크게 완화됐다”고 평가했다.
여기에다 전문가들은 일단 우리 실물경제에 미치는 이로움이 크다고 봤다. ‘미국 경기 회복→글로벌 경기 회복 및 교역 활성화→우리 경제 반등’이라는 선순환 고리의 작동을 기대하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과 우리의 금리 차이가 좁혀지면서 국내에 들어온 외국 자본이 ‘이득’을 찾아 급격히 빠져나갈 가능성이 커졌다. ‘금리 역전현상’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은의 기준금리는 현재 1.25%다.
더 큰 문제는 1344조원이 넘는 가계부채에 짙게 드리워진 ‘그림자’다. 시장금리 상승으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면 가계의 소비가 꽁꽁 얼어붙을 수밖에 없다. 심할 경우 한계가구 연쇄 파산도 우려된다.
정부는 이날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매주 가계부채 동향을 점검키로 했다. 이달 중으로 정책서민자금 제도 개선, 한계가구 연체 부담 완화 등 민생안정 지원 대책도 내놓을 계획이다. 상반기 중으로 자영업자 대출 관리 및 지원책도 마련할 예정이다.
김찬희 우성규 기자 chkim@kmib.co.kr
美 기준금리 인상… 코스피 ‘연중 최고치’ 화답
입력 2017-03-16 1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