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근 전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이 SK그룹의 뇌물공여 혐의 수사와 관련해 16일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 김 전 의장은 2015년 7월 당시 수감 중이던 최태원 SK 회장을 대신해 박근혜 전 대통령을 독대했다.
검찰 조사에 앞서 취재진과 만난 김 전 의장은 ‘박 전 대통령에게 최 회장 사면 청탁을 했느냐’는 질문을 받고 웃음을 띠며 “그랬겠어요?”라고 되물었다. 김 전 의장은 2015년 8월 최 회장이 광복절 특사로 출소한 이후 안종범 당시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에게 ‘하늘같은 은혜 영원히 잊지 않겠다’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취재진은 “사전 청탁이 있었던 것 아니냐” 물었지만 김 전 의장은 “그렇게 생각하냐?”고 부인했다. 검찰이 지난해 11월에 이어 이날 김 전 의장을 재소환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도 “그분(검찰)들에게 여쭤보시지”라고 말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김 전 의장과 함께 김영태 전 커뮤니케이션위원장(부회장), 이형희 SK브로드밴드 대표이사 등 SK그룹 전·현직 최고위급 임원 3명을 한꺼번에 소환했다. 박 전 대통령과 SK 사이의 뇌물 수수 혐의를 확인하기 위한 조사로 보인다.
SK는 최순실씨가 설립을 주도한 미르·K스포츠재단에 총 111억원을 출연했다. 검찰은 SK의 재단 출연에 대가성이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우선 지난해 4월 정부가 서울 시내면세점 추가 설치 계획을 발표하면서 면세점 특허심사에서 탈락한 SK(워커힐면세점)가 다시 사업권 획득 기회를 잡게 된 부분에 주목하고 있다.
SK는 최 회장의 특별사면을 대가로 재단에 출연금을 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최 회장에 대한 특별사면이 발표되기 전 김 전 위원장이 수감 중인 최 회장을 찾아가 “경제 살리기가 회장님이 해야 할 숙제”라고 말한 녹음 파일도 확보해 검찰에 넘겼다. 사면과 관련해 김 전 의장의 감사 메시지를 받은 안 전 수석도 이날 검찰에 나와 조사를 받았다.
최 회장이 지난해 11월에 이어 검찰에 재소환될 가능성도 있다. 검찰은 그가 출소 후 지난해 3월 박 전 대통령과 독대한 자리에서 면세점 관련 청탁이 오갔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최 회장 소환 여부는 전·현직 임원 조사 결과를 두고 봐야 한다”면서 여운을 남겼다.
SK는 “최 회장은 총수 가운데 2년7개월 동안 최장기 복역했고, 정부가 사면을 단행했을 때도 1순위로 거론됐었다”면서 사면 대가성 의혹을 부인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檢, SK수뇌부 3인 소환… 박근혜 전 대통령 뇌물죄 수사 급물살
입력 2017-03-16 17:30 수정 2017-03-16 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