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23일 발표를 목표로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포괄적 채무재조정 방안을 마련 중이다. 채권자가 손실을 분담하는 걸 전제조건으로 최대 3조원을 추가로 지원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2015년 4월 청와대 서별관회의를 통해 4조2000억원의 혈세가 투입된 대우조선에 다시 수조원대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15일 “채무재조정을 전제로 한 신규 자금 공급을 검토 중”이라며 “지난해 결산 결과 등을 종합 판단해 이르면 23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은행 관계자 역시 “4월 회사채 만기는 현행 보유 자금으로도 해결 가능하다”며 “단기적 회사채 문제가 아니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신규 자금 지원을 통해 대우조선을 살리는 문제를 당국과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 달 만기가 돌아오는 대우조선의 회사채는 4400억원 정도다. 7월 3000억원, 11월 2000억원 등 만기 회사채는 줄줄이 대기 중이다. 내년까지 갚아야 하는 회사채 규모는 총 1조5000억원 규모다. 현재 회계법인이 대우조선의 유동성에 대한 실사를 벌이고 있는데, 내년까지 운용 자금을 포함해 3조원 안팎이 부족할 것이란 결론이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는 일부에서 거론하는 ‘워크아웃’은 적극 부인했다. 조선업은 수주산업이기 때문에 워크아웃에 들어가면 건조계약 자체가 취소되는 등 순식간에 몰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마불사’(大馬不死·큰 기업은 망하지 못하게 한다) 논리도 여전하다. 금융위 관계자는 “대우조선 협력사를 포함한 고용인원이 5만명, 짓고 있는 배를 포함한 부대비용이 50조원, 고부가가치 선박 기술은 세계 최고”라고 강조했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우조선을 부도나도록 방치할 순 없지만 신규 지원은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우성규 조효석 기자 mainport@kmib.co.kr
대우조선에 또 혈세 붓나… 최대 3조 지원 검토 논란
입력 2017-03-15 18:33 수정 2017-03-15 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