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한국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으로 15일부터 사실상 한국 관광이 공식 중단됐다. 특히 일부 여행사들은 한국 관광 금지 조치에 따라 아예 한국을 담당하는 부서까지 없앤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국가여유국은 지난 2일 베이징의 20여개 주요 여행사를 불러 “15일부터 한국 여행상품 판매를 금지하라”고 통보했다. 이후 각 지방에도 지시가 전달되면서 이미 중국의 여행사들은 한국행 상품 판매를 중단한 상태다. 15일을 판매중단 시기로 지정해 여유를 준 것은 기존 판매 상품 해소를 위한 유예기간으로 해석된다. 대다수 여행사들은 한국 관광 상품을 없애고 예약 취소를 받았고, 한국행 비자 발급 대행 서비스도 중단했다.
심지어 주요 여행사 20여곳은 사태가 장기화될 것으로 우려해 한국 담당 부서를 폐지하거나 담당 직원들을 다른 부서로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여행을 원하는 중국인은 개별적으로 비자 발급을 받고 항공권과 숙소 등을 예약해야 한다. 주중 한국 공관들이 직접 개별 중국인들의 관광비자 발급을 접수하고 있지만 지난 3∼14일 공관을 직접 찾아 비자 신청을 한 중국인은 120명 전후에 불과하다. 베이징 여행업계 소식통은 “여행사들이 (패키지여행) 상품 판매는 중단했지만 여행사를 통한 항공권과 숙박 예약은 가능했다”면서 “앞으로 이것까지 막는다면 보복 조치가 확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 기업에 대한 제재도 여전하다. 중국 내 롯데마트 점포 99곳 가운데 55곳이 표적성 소방·위생 점검으로 영업이 정지됐다.
하지만 중국은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사드 보복에 대한 속도 조절에 나서는 모습이다. 이날 중국 관영 CCTV의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 ‘3·15 완후이(晩會)’는 당초 우려와 달리 한국 기업을 주요 표적으로 삼지는 않았다. 정부 차원에서도 반한(反韓) 집회를 차단하고 일부 중국인의 과격한 행동에는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중국인의 시위가 예고된 한인 밀집 지역에는 공안이 집중 배치됐다. 중국 랴오닝성 선양 공안 당국은 지난 12일 롯데마트에서 상품을 훼손하는 장면을 중계한 여성을 체포해 조사 중이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박 전 대통령 파면 후 사드 배치에 유보적이거나 비판적인 야당 후보들이 많은 점을 감안해 일단 한·중 관계의 추가 악화를 막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中, 한국 관광 사실상 전면 금지 여행사 한국 담당자·부서도 없애
입력 2017-03-16 00:00 수정 2017-03-16 0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