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15일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21일 오전 9시30분 검찰청에 나와 조사를 받으라고 공식 통보했다. 대통령 파면 이후 5일, 삼성동 사저 복귀 이후 3일 만에 소환날짜가 정해진 것이다. 박 전 대통령이 출석하면 노태우·전두환·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의 조사를 받은 헌정 사상 네 번째 전직 대통령으로 기록된다. 2009년 노 전 대통령 이후 8년 만에 전직 대통령이 검찰 포토라인에 서는 모습을 다시 보게 되는 셈이다. 이런 악순환은 대한민국의 불행이 아닐 수 없다.
예상보다 빨리 소환 일정이 확정된 것은 검찰의 신속한 수사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당초 대선 국면이라는 시기상 민감성과 전직 대통령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소환 시기가 다소 늦어질 수 있다는 예상도 있었다. 하지만 삼성동 사저가 장외 정치의 ‘진지’가 될 조짐이 보이자 서둘러 소환 방침을 굳힌 것으로 보인다.
불소추 특권이 사라진 박 전 대통령은 피의자 신분으로 뇌물수수, 직권남용 등 13가지 혐의에 대해 조사받게 된다. 검찰은 지난해 박 전 대통령이 최순실씨와 함께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 강요 등을 공모한 피의자라고 보고 8가지 혐의 사실을 최씨의 공소장에 적시했고, 수사를 이어받은 특검은 박 전 대통령에게 뇌물수수 등 5개 혐의를 추가했다. 검찰의 소환조사는 혐의 사실을 확인하는 과정인 만큼 박 전 대통령도 당당하게 임해 진상 규명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 박 전 대통령 측은 일단 “검찰이 요구한 일시에 출석해 성실하게 조사받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당연한 조치다. 스스로도 “진실은 반드시 밝혀진다고 믿는다”고 했듯이 검찰에 출두해 국정농단의 진실을 소명하길 바란다. 이번에는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
[사설] 박 前 대통령 이번에는 검찰 조사에 성실히 응해야
입력 2017-03-15 1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