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불출마 선언한 黃 대행, 안정적 국정 관리에 만전을

입력 2017-03-15 17:42
보수 진영의 유력 후보로 거론돼 온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차기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만시지탄이나 지극히 당연하고 상식적인 결정이다. 황 대행의 대선 출마는 사실 명분도 승산도 없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에 자유로울 수 없는 그였다. 대선에서 뛰기 위해 ‘권한대행의 대행’ 체제를 만드는 걸 많은 국민들이 원하지도 않았다. 황 대행의 불출마는 박 전 대통령 파면에 이어 또 하나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제거됐다는 데도 의미가 있다.

차기 대선일인 5월 9일까지 남은 시간은 55일. 짧지 않은 시간이다. 황 대행 앞에 놓여 있는 대한민국은 ‘대통령 궐위’라는 사상 초유의 비상 상황이다. 국내적으론 박 전 대통령 파면으로 분열과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가계부채에 내수 침체, 고용 절벽 등 넘어야 할 산이 한둘이 아니다. 외부에선 북한의 도발 가능성과 중국의 사드 보복이 날로 가중되고 있다. 황 대행이 나라와 국민만 바라보고 국정을 관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황 대행의 최우선 과제는 자신이 밝힌 것처럼 공정한 대선 관리다. 균형감 있는 심판의 역할이 요구된다. 한쪽으로 치우친 관리가 이뤄진다면 일방에게 불복의 빌미를 주게 된다. 차기 정권의 향배에만 관심 있는 일부 공무원들의 복지부동은 과감히 혁파해야 한다. 조속한 사드 배치로 안보 불확실성 제거에도 힘써야 한다. 부양책을 동원해서라도 뇌관이 터지지 않도록 세심한 경제위기 관리도 필요하다. 대선 기간이라도 국정은 계속 돌아가야 하는 것이다. 집권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 야당 후보들은 황 대행의 국정 운영에 적극 협조하는 게 맞다. 표에만 눈멀어 국론을 분열시키는 주장을 이젠 멈춰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