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경제 주름살 깊어진다… 조선불황도 버거운데 中 ‘사드 보복’까지

입력 2017-03-15 18:02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중국 의존도가 높은 울산 경제에 주름살이 깊어지고 있다. 조선업 불황에다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까지 겹치면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15일 울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의 전체 수출규모(652억 달러) 중 대중 수출은 80억 달러에 달하는데 이는 미국(14%)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율(12%)이다. 문제는 울산 지역 대중 수출 규모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는 것. 2013년 143억 달러에서 2014년 122억 달러, 2015년 81억 달러로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다.

울산의 주력산업인 화학업계는 중국 정부가 지난해 말 한국산 폴리실리콘 제품에 대한 반덤핑 재조사를 시작하면서 불안에 떨고 있다. 석유화학분야의 경우 중간재를 납품하는 특성상 무역보복이 당장 현실화 되지는 않겠지만 신규 무역규제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연간 1만5000t의 폴리실리콘을 생산중인 한화케미칼의 대중국 수출 의존도는 60∼70%에 달한다. SK이노베이션의 중국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 공장 건설계획도 중국 현지 조치로 지연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울산의 관광산업도 답보상태다. 시는 광역시 승격 20주년을 맞아 올해 관광객 400만 명을 유치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올해 연 5만명의 중국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최근 6개 중국 여행업협회와 양해각서(MOU)까지 체결했으나 사드 문제로 한중 관계가 경색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당초엔 3월중 중국 단체 관광객 1000명이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현재 4월로 일정이 연기된 상태다.

시는 기업 및 유관기관과 협력을 강화해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지만 현황을 파악하는 것 외에 구체적인 대응 방안이 사실상 없어 고심 중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중앙부처에 사드 배치에 따른 대책마련을 요구중”이라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