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KTX 세종역 신설’, 충청권 핫이슈 부상

입력 2017-03-14 21:28
KTX 세종역 신설이 조기 대선 정국의 충청권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국토부가 다음달 중 세종역의 타당성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어서 그 결과에 따라 심각한 지역 갈등 양상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KTX 세종역 신설문제는 이해찬(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4월 총선에서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공론화됐다. 이춘희 세종시장도 “세종시 기본계획에 2030년까지 세종역을 신설하게 되어 있다”며 “세종시가 행정수도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세종역 설치는 필수 조건”이라고 거들었다.

게다가 대선 주자들 중 일부가 국회와 청와대의 세종시 이전을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자연스럽게 지역에선 세종역 신설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세종역 신설 여론의 가장 큰 배경은 효율성이다. 현실적으로 정부세종청사를 KTX로 이동하려면 오송역에서 내린 후 차량으로 30분 이상 이동해야 한다. 서울역에서 오송역까지 KTX 요금이 1만8500원인데 오송역에서 세종시까지 택시요금이 1만9000원 수준이다. 시간과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지 않다는 불만이 제기되는 이유다.

그러나 충북도는 KTX 오송역의 쇠퇴를 우려해 세종역 신설에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KTX 세종역 신설 백지화를 위한 충북범도민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달 KTX 세종역 신설에 반대하지 않는 대선 후보와 정당에 대해 낙선운동을 벌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KTX 공주역이 위치한 충남도 역시 세종역 신설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충남도의회와 충북도의회는 지난 달 ‘KTX 세종역 신설 사전 타당성 조사용역 철회 촉구’ 서한문을 국토부에 전달하기도 했다.

세종역 신설을 놓고 지역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세종시 신도시 건설을 담당한 이충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은 올해 초 업무계획 브리핑에서 “KTX 세종역 신설 문제는 더 지켜봐야 할 사안”이라며 유보적인 입장을 내놨다.

국토부 관계자는 “전문가들이 세종역의 기술적 부분과 향후 활용가치 등에 대한 검토를 거쳐 합리적인 결론을 내릴 계획”이라며 “아직까지 KTX 세종역과 관련해 결정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말했다.

세종=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