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 소상공인 네트워크 강화로 경쟁력 높인다

입력 2017-03-14 19:03
중소기업청이 산업의 뿌리인 소상공인 지원에 본격 나섰다. 소공인 네트워크화, 소공인 혁신자금 신설, 판로 확보, 온라인 수출 지원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중기청은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건물에서 ‘제1차 도시형 소공인 지원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소공인은 19개 제조 업종 상시근로자 1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 기업을 말한다.

이번 계획은 2015년 ‘도시형 소공인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시행된 이후 발표된 첫 중장기 계획으로 2017년부터 2021까지 5년간 진행된다. 올해 소공인특화센터 사업에 320억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을 통한 융자 자금에 4100억원을 투입한다.

핵심은 소공인의 네트워크 강화다. 소공인 집적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국 20개 우수 집적 지구를 지정해 소공인 특화센터 설치, 공동 인프라 구축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소공인 집적지는 금속가공, 식료품 등 같은 업종의 소공인이 20∼50곳 이상 밀집한 읍·면·동을 의미한다. 중기청에 따르면 전국 696개 집적지 내 소공인 8만1000명, 종사자 24만4000명이 밀집해 있다.

정윤모 중기청 차장은 “산재해 있는 개인 소공인들을 연계하고, 협업 활동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조설비·검사장비 투자, 기술개발 등에 필요한 설비 자금을 저금리로 융자하는 ‘소공인 혁신자금’도 신설한다. 올해 예산은 200억원 규모다. 시설·운전자금도 5억원에서 최대 10억원까지 상향 조정한다. 소공인 제품에 문화 예술인의 우수 디자인을 접목한 대중 명품의 기획·생산·판로를 지원하는 대중 명품 지원 사업도 실시한다.

소상공인 판로 확보도 돕는다. 성수동 신발, 종로 주얼리 등을 공동브랜드로 양성해 수익 확대를 지원하고 카카오, 복지몰 등 온라인 플랫폼 등을 소공인 유통협력사로 지정해 활용할 계획이다. 영세한 소공인 규모를 고려해 수출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실시하는 온라인 수출 지원사업도 진행한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