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에서 집권 가능성이 높은 더불어민주당의 경선 후보들이 14일 TV토론을 가졌다. 앞서 라디오와 인터넷방송 토론이 있었지만 지상파로 생중계된 토론회는 처음이다. 문재인 전 대표와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최성 고양시장이 참석했다. 4명의 후보들은 대연정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국민 통합 방안, 복지 정책 및 재원 마련, 일자리 양극화와 중국의 사드 보복 대책 등을 놓고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았다. 토론은 전·후반 공통질문 4개와 검증토론, 주도권토론 형식으로 90분이 소요됐다.
하지만 과연 이 정도의 TV토론을 보고 민주당 경선 참여자들은 물론 일반 국민들이 대선 주자들의 자질과 정책 능력을 파악할 수 있었을지 의문이 든다. 토론에서는 상대 후보를 매섭게 파고드는 송곳 질문도, 반격에 재반격을 하는 긴장감도 거의 없었다. 꽉 짜인 틀 속에서 후보들은 각자의 시간을 맞추는 데 신경을 써야 했다. 그나마 참모가 써준 원고에서 벗어나 한 후보가 상대 후보를 정해 질문을 하는 주도권토론이 있었지만 이 역시 9분 내에 3명에게 골고루 질문을 해야만 했다. 앞서 두 차례에서는 2시간 중 17분이 주도권토론으로 주어졌는데 이번에는 이마저 줄어든 것이다.
TV토론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학예회식 발표 토론회로는 탄핵 사태 이후 이 나라를 이끌고 나갈 제대로 된 지도자를 뽑기 어렵다. 심도 있는 검증을 위해선 끝장토론이 도입돼야 한다. 토론회 횟수를 늘려 백화점식으로 잡다한 주제를 테이블 위에 올리지 말고 특정 주제 한두 개를 놓고 후보들이 무제한 토론을 벌이도록 해야 한다. 무용지물 토론회는 깜깜이 투표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사설] 이런 TV토론 말고 끝장토론 필요하다
입력 2017-03-14 1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