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박근혜 前 대통령 수사 속전속결… 이르면 주중 소환

입력 2017-03-14 00:02
김수남 검찰총장이 13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을 나서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파면 결정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 수사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김지훈 기자

검찰이 박근혜 전 대통령 수사를 최대한 신속히 진행한다는 내부 방향을 정한 것으로 13일 알려졌다. 본격적인 대통령 선거 국면이 시작되기 전 가급적 박 전 대통령 소환조사 등 난제를 정리하겠다는 입장으로 보인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이날 박영수 특별검사팀으로부터 이첩받은 수사 기록을 검토하며 앞으로 있을 박 전 대통령 수사 계획 등을 조율했다. 사전 조사 등에 시간을 끌기보단 곧바로 압수수색과 소환 통보 등 직접 수사에 나선다는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검찰 수사가 대선 판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박 전 대통령 직접 조사 일정 등이 대선 이후로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있었다. 그러나 특수본은 오히려 속전속결로 대선 정국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10월부터 계속된 검찰과 특검 수사로 증거자료 등이 상당 부분 축적된 상황인데다 최순실(61·구속 기소)씨, 이재용(49·구속 기소) 삼성전자 부회장 등 박 전 대통령과 공모 관계를 의심받는 피고인들의 형사재판이 시작된 점 등이 고려됐다.

검찰이 속도를 낼 경우 수사할 수 있는 기간은 한 달 정도로 예상된다. 대선 후보 등록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 다음달 15일 이후에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기 어렵다는 게 법조계 중론이다.

결국 수사의 핵심은 박 전 대통령 대면조사 성사 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수본은 이르면 이번주 중, 늦어도 이달 중에 박 전 대통령 측과 소환조사 시점 조율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주 내에 청와대 및 박 전 대통령 집에 대해 전격적인 압수수색과 함께 박 전 대통령의 계좌와 통화 내역을 전방위 추적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현재 박 전 대통령이 받고 있는 혐의는 13개다. 특수본 1기가 8개 혐의를 적시해 특검팀에 넘겼고, 특검팀은 뇌물수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의료법 위반 등 5개 혐의를 추가로 적용했다. 헌법재판소는 검찰에서 적용한 이러한 혐의에 형사법적 판단은 하지 않았지만 사실관계는 상당 부분 인정했다.

다만 검찰은 섣부른 강제 수사로 인한 부작용이나 역풍 등도 신중히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야권 편들기라는 지적과 함께 친박을 중심으로 한 보수층 결집 효과가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여론의 동향을 주시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검찰 관계자는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효율적인 방안을 찾고 있다”며 “수사와 관련해서 현재로서는 아무런 할 말이 없다”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글=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