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연준 옐런, 기준금리 인상 충돌

입력 2017-03-13 18:10

경기부양을 부르짖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경기과열을 우려하는 재닛 옐런(사진)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경제성장의 ‘속도’를 가늠할 기준금리 인상을 놓고 충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충돌의 원인은 시각차이다. 백악관과 연준은 최근 받아든 ‘성적표’를 정반대로 해석하고 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일자리(비농업 부문)는 23만5000개 늘었다. 2009년 이후 8년 만에 최대치다. 실업률도 4.7%로 전달 대비 0.1% 포인트 떨어졌다.

이에 트럼프는 한껏 고무됐다. 자신의 빠른 경제성장 정책이 첫걸음을 내디뎠다고 자평하고 있다. 그는 “다시 위대하게: +23만5000”이라는 트윗도 남겼다. 반면 옐런은 개선된 고용지표가 경기과열의 전조라는 판단이다. 연준은 14∼1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현재 연 0.5∼0.75%인 기준금리를 0.75∼1.00%로 0.25% 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부흥을 꿈꾸는 트럼프는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다. 인프라에 10년간 1조 달러(약 1145조원) 투자를 약속했고, 감세와 규제 철폐 등 각종 부양책을 내놓고 있다.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 시장에 돈이 풀려야 한다. 저금리는 필수조건이다.

그러나 연준은 미국의 경제성장 속도가 이미 지속가능한 수준을 넘어섰다고 판단한다. 연준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2.1%로 지속가능한 수준인 1.8%에 비해 다소 높다고 보고 있다. 처방전은 기준금리 인상이다. 연준은 올해 최소 3차례 금리를 인상할 방침이다. 빠른 경제성장이 초래할 과도한 인플레이션, 이를 제어하기 위한 갑작스러운 금리 인상과 이어질 경기침체의 악순환을 우려해 지나치게 빠른 경제성장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각종 친시장 정책을 공약한 트럼프는 미국의 경기부흥을 서두를 의무가 있지만 연준은 입장이 다르다. 양측의 긴장이 계속될 경우 트럼프 행정부는 결국 내년 2월 임기가 끝나는 옐런의 연임을 막아 갈등을 ‘봉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훈 기자 zorb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