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대선 경선 룰 ‘삐걱’

입력 2017-03-13 18:07
자유한국당이 13일 대선 예비후보자 등록을 실시하며 본격적인 대선 체제에 돌입했다. 4선의 조경태 의원이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그러나 이인제 전 최고위원 등 일부 주자들은 경선 룰에 반발, 경선 불참을 압박해 시작부터 진통을 겪고 있다.

한국당은 오전 9시부터 대선 예비후보 등록을 개시했다. 등록 마감시한은 15일 오후 3시다.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인 조경태 의원은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개헌을 통해 대한민국을 새로 짓겠다”며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조 의원 출마로 한국당 대선 주자는 6명이 됐다.

조 의원은 국회의원 정수 감축과 각 정당의 전략공천 폐지 등 정치개혁을 약속했다. 홍준표 경남지사도 한 라디오 방송에서 자신의 대선 출마에 대해 “충분히 검토해서 며칠 내에 결정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경선 룰을 둘러싼 불화는 시작부터 터져 나왔다. 논란의 핵심은 예비후보 경선을 치르지 않고도 본경선 참여를 가능케 한 특례규정이다. 이미 출마를 선언한 이 전 최고위원과 김진 전 중앙일보 논설위원, 출마를 준비해 온 김문수 전 경기지사는 기자회견에서 “(특례규정은) 특정인을 위한 편법이자 새치기 경선”이라고 비판했다. 이 규정이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출마를 독려하기 위한 것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여론조사 100%인 경선방식에 대해서도 “정당민주주의와 당원주권주의를 외면하고 있다”며 경선 보이콧 방침을 밝혔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특례규정에 대해 “당 외부에서 사람을 영입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것일 뿐 꼭 적용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