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등 민주당 대선 주자들의 경선 전략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문 전 대표는 정책 행보를 계속하는 중이다. 안 지사는 통합을 강조하며 중도 표심 공략을 강화했다. 이 시장은 문 전 대표와 안 지사를 ‘기득권 세력’으로 규정하며 ‘좌클릭 행보’를 강화했다.
문 전 대표는 1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캠프 핵심 조직인 ‘일자리위원회’를 발족했다. 문 전 대표는 발족식에서 “‘21세기형 한국형 일자리 뉴딜’을 제안한다”고 선언했다. 17만4000명의 공무원 신규 채용을 포함해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를 만들고, 17조원의 일자리 예산과 정부 예산 순증분을 활용해 5년간 21조원의 재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이다. 민간부문 일자리 정책은 법정 근로시간 준수로 50만개의 신규 일자리와 중소기업·벤처기업·사회적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 원론적 입장을 반복했다.
문 전 대표는 1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19대 대선 예비후보 등록을 하고, 19일쯤 공식 출마선언을 인터넷을 통해 할 계획이다. 출마선언문도 국민 공모 형식으로 작성키로 했다. 완전국민경선으로 치러지는 경선을 대비해 국민적 관심도를 높여 참여율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또 여성 표심을 겨냥해 캠프 내 여성본부를 신설하고 남인순 민주당 의원을 본부장으로 내정했다. 매머드급 캠프를 최대한 활용해 ‘문재인 대세론’ 굳히기에 나선 것이다.
안 지사는 ‘대개혁’ ‘대연정’ ‘대통합’ 등 ‘3대(大) 전략’을 내세우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마음 줄 곳을 잃은 중도 유권자들을 겨냥했다. 진보 유권자 상당수는 이미 문 전 대표와 이 시장이 선점했기 때문에 안정에 대한 욕구가 강한 중도층 포섭이 더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안 지사는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새롭게 하나 되는 대한민국으로 가기 위해 ‘대개혁 대연정 대통합’이라는 세 가지 전략을 제시한다”며 “대연정만이 대개혁을 성공시킬 수 있는 해법이며, 사분오열된 국민을 하나로 통합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안 지사는 민주당에 ‘연정협의체’ 구성을 요구했다. 안 지사는 그러나 헌법재판소 결정에 불복하는 친박(친박근혜)계 인사들은 대연정 대상이 아니라고 못 박았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헌재 결정에 불복 의사를 표시한 분들은 (연정) 논의의 대상이 되기 어렵다”고 했다. 통합 메시지로 중도층을 공략하되, 친박 세력과는 선을 그어 문 전 대표와 이 시장의 공세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지율 반등 묘안에 고심 중인 이 시장은 문 전 대표와 안 지사를 모두 공략하기 위한 ‘6대 개혁과제’를 경선 후보들에게 제안했다. 이 시장은 문 전 대표를 향해서는 ‘친재벌·부패기득권 인사 영입 중단’을 요구하며 문 전 대표의 경선 캠프를 비판했고, 안 지사에게는 ‘대연정을 포기하라’고 요구했다. 이와 함께 사드 배치 반대 공식화와 ‘박근혜·이재용 사면불가 방침 공동 천명’ 등을 요구하며 선명성 부각에 주력했다. 최승욱 정건희 기자
applesu@kmib.co.kr
문재인, 연일 정책 행보 VS 안희정, 중도 표심 공략 VS 이재명, 선명성 강화
입력 2017-03-13 1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