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서울 삼성동 사저로 복귀한 박근혜 전 대통령을 돕기 위한 ‘삼성동 사저 라인업’을 구성했다. 이들은 탄핵으로 전직 대통령 예우를 받지 못한 채 검찰 수사를 앞둔 박 전 대통령을 지원하기 위해 정무, 법률, 공보 등 역할까지 나눴다. 한동안 정치 전면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던 친박계의 활동 재개를 두고 ‘제2의 친박연대’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한 친박계 재선 의원은 13일 “박 전 대통령이 사저에 외롭게 있는 모습이 안타까워 어제 사저를 방문한 의원들끼리 자발적으로 도와드리자고 했다”며 “추가로 동참하려는 의원들도 있다”고 말했다.
친박계 맏형인 서청원 최경환 의원이 총괄 업무를 맡았고, 윤상현 조원진 이우현 의원이 정무 업무를 담당하기로 했다. 검사 출신인 김진태 의원은 법률 분야 지원을, 2012년 대선 캠프에서 박 전 대통령을 수행했던 박대출 의원이 수행을 맡았다. 청와대 대변인을 지냈던 민경욱 의원이 대변인 역할을 맡기로 했다.
논란이 커지자 조원진 의원은 “(박 전 대통령이) 필요할 때 의원 개개인이 개인적으로 도와드리겠다는 것일 뿐 조직적으로 활동하는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들이 2008년 친박연대의 길을 다시 걸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친박계 인사들은 18대 총선을 앞두고 친이(친이명박)계 공천 학살에 반발, 한나라당을 대거 탈당해 친박연대를 구성했다. 총선에서 26명을 당선시킨 뒤 한나라당에 다시 합류했다. 지금의 친박계도 탄핵 후 고령층과 TK(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된 박 전 대통령 동정여론과 탄핵 반대세력을 활용해 정치적 재기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통령 역시 향후 검찰 수사 대응 및 대선 국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이들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당 지도부는 일단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은 “만에 하나 국민 마음에 걱정을 끼치고 화합을 저해하는 언행을 한다면 불가피하게 단호한 조치를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러나 이들의 징계 가능성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친박 의원들 ‘사저 라인업’ 구성… 제2의 친박연대 띄우나
입력 2017-03-13 18:32 수정 2017-03-13 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