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은 해소됐다. 그러나 난마처럼 얽힌 현안들은 여전히 우리를 짓누르고 있다. 경제가 가장 큰 문제다. 한국 경제는 앞으로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는 60일 정도 리더십 공백이라는 짐을 떠안게 됐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대통령 역할을 하고 있지만 대선 출마론이 끊이지 않아 시장의 전폭적인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우리 경제 앞에는 악재가 겹겹이 쌓였다. 사드(THAAD)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은 현재진행형이고 임박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관리 불가 수준의 가계부채, 남북관계 경색 등 그야말로 첩첩산중이다. 탄핵인용 결정 이후 외환, 주식, 채권 등 금융시장은 차분했으나 안팎의 리스크가 언제 덮칠지 하루하루가 불안하다.
현대경제연구소는 12일 보고서를 통해 “탄핵은 다양한 위험 요인 중 하나가 해소된 것일 뿐”이라며 “우리 경제는 동시다발적 위기 앞에 놓여 있다”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 경제부처가 탄핵 결정 직후 ‘60일 위기관리’의 비상체제에 돌입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국민들을 안심시킬 수 있도록 유일호 경제부총리를 중심으로 흔들림 없이 경제정책을 운용해야겠다. 대선 정국과 무관하게 경제 이슈는 철저히 챙겨야 한다. 무엇보다 대외 리스크 차단과 내수 회복 정책에 주력해야겠다. 대선 후보들은 과도한 기업 때리기를 자제해야 한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수개월째 재계는 혼란 속에서 경영계획조차 제대로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 향후 2개월은 대한민국 경제의 흥망을 가를 수 있는 중요한 시기라는 점을 모두 유념해야 한다.
[사설] 대선 정국이라도 경제이슈는 꼼꼼히 챙겨야
입력 2017-03-12 1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