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10일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를 전후로 각 당 지도부 회의와 의원총회 등을 잇달아 열어 탄핵 이후 수습책 논의에 집중했다. 각 정당은 헌재 결정에 승복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동시에 헌정사상 처음 치러지는 조기대선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했다.
인명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은 헌재 선고 직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헌재의 인용 결정을 중하게 수용하겠다”고 한 뒤 집권당의 책무를 다하지 못한 점을 사죄하고 고개를 숙였다. 인 위원장은 오후 의원총회에선 “후회도 있고, 원망도 있고, 자책도 있을 것”이라며 “우리가 하나로 뜻을 같이할 때 능히 어려움을 딛고 일어설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당 의원들은 무거운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 의총에서 ‘원내 2당’으로 치르게 된 조기대선과 당의 진로를 모색했다.
바른정당은 “새로운 역사의 출발점”이라며 헌재 결정에 환영했다. 정병국 대표는 성명을 내고 “국민을 배신한 국정농단 세력과 결별하고 탄핵을 주도했던 것이 바른 선택이었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오후 의원총회에서 “탄핵을 이끌고 창당을 하는 것까지가 저의 소임”이라며 당대표직에서 물러났으며 최고위원들도 동반 사퇴했다. 새 지도부가 들어설 때까지 주호영 원대대표가 당대표 권한대행을 맡는다. 조기대선을 앞두고 당 쇄신을 모색하려는 포석이다. 김무성 의원은 “제왕적 대통령제는 이제 끝내야 한다”며 개헌을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공정하고 정당한 결정”이라며 헌재 결정 승복을 거듭 요청했다. 추미애 대표는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헌재 결정에 모두가 절대 승복해야 한다”며 “무너진 헌법 가치의 회복과 국정 정상화에 한마음이 돼 달라”고 말했다. 이어 “모두가 책임 있는 공당으로서 당리당략이 아닌 국민과 국가에 대한 무한 책무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당 내부에선 정권교체 기대감이 높아졌지만 포스트 탄핵 정국에서의 ‘자책골’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앞으로의 태도가 중요하다. 가급적 웃지 마시고 차분히 임해 달라”고 당부했다.
국민의당도 국론 분열을 막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약속했다. 박지원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촛불과 태극기를 하나로 모으고 광화문광장과 시청광장을 통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헌재 결정에 대해선 “인류 역사상 가장 경이로운 시민혁명”이라며 “‘87년 체제’의 종식과 정권 창출, 국가 대개혁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글=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헌정사상 첫 조기대선 대책 고심
입력 2017-03-10 18:17 수정 2017-03-10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