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정경유착 고리 끊고 경제회생 역량 모아야”

입력 2017-03-10 18:51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등 주요 경제단체들은 10일 일제히 입장자료를 내고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그동안의 갈등을 종식시킬 결정이 나온 만큼 앞으로 경제 살리기에 매진해야 한다는 당부도 했다.

대한상의는 “한국 경제는 내수 부진, 대외여건 악화, 주요국 간 신산업 경쟁, 저출산·고령사회 진입 등으로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면서 “그동안 정치일정에 밀려 표류하던 핵심현안 해결에 국가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경 유착의 중심으로 비난을 받으며 존폐 기로에 놓일 정도로 위상에 타격을 입은 전경련은 “이번 사태를 값비싼 교훈으로 삼아 적극적인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대내외 경제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만큼 경제주체들의 불안심리를 키우는 정치적 리스크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경제 살리기와 민생안정에 모든 역량을 집중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총은 “정부와 정치권은 협치를 통해 국정운영 공백과 국론분열에 따른 사회혼란을 조기에 매듭지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면서 “노와 사를 비롯한 모든 경제주체도 합심해 최대 현안인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창출을 통한 민생안정에 전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역협회는 “깎인 자존심을 바로 세우고 실추된 국격을 조기에 회복하는 데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면서 “기업은 도전과 혁신을 통한 기업가정신을 발휘해 위기를 기회로 바꿔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기업들 사이에선 탄핵을 계기로 정경 유착의 악습이 끊어질 것이라는 기대와 반기업 정서에 편승한 ‘기업 때리기’가 더욱 심해질 것이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헌법재판소가 대통령의 재단 모금 활동이 기업의 재산권과 경영의 자유를 침해한 것이라고 지적했기 때문에 앞으로는 비슷한 유형의 요구는 없어지지 않겠나”라면서 “기업들이 앞으로 부당한 요구를 거절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하고 있는 만큼 악습이 되풀이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반기업 정서가 높아지면서 대선 후보들이 기업 활동을 위축시킬 정책을 내놓지 않을까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미국 중국이 연일 한국 기업을 상대로 압박을 가하고 있는데 제대로 대응도 못하는 상황”이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정책적 지원은커녕 규제가 더 강해지면 기업 활동에 어려움이 심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다른 대기업 관계자는 “불확실성이 사라져야 기업이 투자를 하고 소비심리도 살아난다”면서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된 만큼 이제는 어려운 경제상황을 해소하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