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의 대북 경계·감시태세가 강화됐다. 박근혜 대통령 파면에 따른 국내 혼란을 이용해 북한이 도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10일 전군 주요지휘관 화상회의를 주재하고 경계 강화를 지시했다. 한 장관은 “안보 상황의 엄중함을 명확히 인식해 국민들이 걱정하지 않도록 빈틈없는 국방태세 유지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 또 “북한이 한·미 연습 및 훈련을 빌미로 언제든 전략적이고 작전적인 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고도 했다. 화상회의에는 육·해·공군 참모총장과 해병대사령관 등 주요 지휘관이 참여했다.
한·미 군 당국은 연합 감시자산을 증강해 북한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고 있으며 대북정보 분석 요원들도 증편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군의 특이 동향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각급 부대 회의실 등에 걸려 있던 박 전 대통령의 사진도 사라졌다. 국방부는 규정에 따라 박 전 대통령 사진을 폐기하라는 공문을 각 군 부대에 하달했다. 국방부 부대관리훈령에는 대통령 임기가 종료되면 해당 부대 지휘관 책임 하에 사진을 세절(細切)하거나 소각하게 돼 있다. 외교부도 헌재 결정 직후 전 재외공관에 전문을 보내 박 전 대통령 사진을 내리도록 했다. 박 전 대통령 사진 대신 다른 사진을 걸지는 않는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軍, 대북 경계·감시태세 강화
입력 2017-03-10 18:04 수정 2017-03-10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