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대안경제다. 시장경제 틀 안에서 이윤의 극대화가 아니라 사람의 가치를 우위에 두고 지역공동체에 도움이 되는 경제활동을 해나가는 기업을 사회적기업이라고 부른다. 해외 선진국의 경우 사회적경제 기업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도시문제 해결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가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역점사업으로 추진해온 협동조합 등 사회적기업 육성에 올해 579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현재 3500개 수준인 사회적기업을 연내 4000개로 늘리겠다는 것이다.
서울시가 9일 발표한 ‘2017년 사회적경제 기업 5대 중점 지원계획’에 따르면 사회적기업의 주요 수입원이 되고 있는 서울시 공공구매액이 지난해 856억원에서 올해 1000억원으로 확대된다.
또 사회적기업에 투자하는 사회투자기금을 민간위탁에서 시 직영으로 전환하고, 기금 규모를 800억원으로 늘린다. 일반 시민들이 사회투자기금에 참여할 수 있도록 크라우드펀딩도 새로 도입한다.
서울시는 2012년부터 사회적경제 지원을 시작했다. 그 결과 2011년 718개였던 사회적기업이 2016년 말 3501개로 5배가량 증가했다.
사회적기업 매출액은 2012년 6870억원에서 2015년 1조4600억원으로 2배 늘었고, 고용인원도 같은 기간 9300명에서 1만7400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서울시 사회적기업은 전체 근로자 중 41%를 취약계층으로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기업 활성화의 주된 정책 수단은 공공구매다. 서울시와 산하 기관, 자치구 등의 사회적기업 제품 공공구매액수는 2011년 116억원에서 지난해 856억원으로 급증했고, 올해 1000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는 자치구와 투자출연기관을 직접 방문해 사회적기업 제품을 소개하는 ‘찾아가는 공공구매지원단’ 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행사, 청소, 돌봄 등 매출 효과가 큰 서비스용역사업에 대한 공공구매를 촉진하기로 했다. 공공구매에 참여하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도 지난해 6곳에서 올해 15곳으로 늘린다.
서울시는 또 사회적경제 지원 인프라를 자치구로 확대하기 위해 창업 지원, 인재 발굴, 주민 홍보 등을 담당하는 자치구별 사회적경제 통합지원센터를 5곳 추가하고 3년간 최대 5억원의 사업비를 지원하는 사회적경제 특구도 4곳 더 늘린다.
서울시는 사회적경제 선도도시로서 국제적 위상을 확보하기 위해 ‘아시아 사회혁신가 국제포럼’에 이어 올해부터 ‘사회적경제 청년 국제 캠프’를 새로 추진하고 6월에는 국제노동기구(ILO)와 함께 하는 ‘사회적경제 아카데미’도 개최한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서울시, 사회적경제 기업 연내 4000개로 늘린다
입력 2017-03-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