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제품 압류·통관 지연 등 中 은밀한 보복 계속되고 있다”

입력 2017-03-09 18:04 수정 2017-03-13 16:46
우리 중소기업계도 중국에서 한류 제품 압류, 통관 지연 등 사드 배치와 관련해 ‘은밀한 보복’이 이뤄지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중소기업청이 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켄싱턴 호텔에서 개최한 ‘대(對)중국 수출 중소기업 간담회’에서 중소기업 경영인들의 성토가 이어졌다.

한류 음반 등을 제작·유통하고 있는 H사는 한한령(限韓令·한류금지령)의 직격탄을 맞았다. 회사는 지난해 12월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에 입점하려고 보낸 물품 5521개가 중국 세관에 압류당했다. 정경호 본부장은 “중국 정부가 개별 수입자에 대해 엄격한 규제를 적용하지 않던 선례를 깬 상황”이라며 “피해액이 2억원에 달하는데 해당 업체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화장품 원료 개발 업체인 K사의 이범주 대표는 “예전에는 중국에서 열리는 제품 전시회에 나가면 허가받지 않은 제품도 소개 차원에서 전시할 수 있었는데, 최근에는 허가받지 않으면 전시 부스를 열지 못하게 하고 있다”며 “중국에 대대적으로 공장을 짓고 있는데 우려가 된다”고 토로했다.

화장품 제조·판매 업체인 C사의 이현구 대표는 “최근 투자하기로 했던 중국 업체들이 발을 빼고 있는 상황이라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큰 차질이 생기고 있다”고 밝혔다. 교육용 로봇을 보급하고 있는 R사의 장창남 대표는 “중국과 사업 논의를 위해 개발진과 담당자가 중국 출장을 계획했는데, 파트너가 현지 분위기를 감안해 출장 규모를 최소로 줄여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대중 수출 증가 추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선 안 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지난 1월과 2월 대중 수출은 지난해 대비 각각 13.4%, 28.7% 늘었다. 화장품업체 S사의 한정수 대표는 “사드 국면으로 인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통관상 문제에 대비해 최대한 물량을 생산해 보내는 ‘밀어내기’ 수출 물량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중기청은 지난 2월부터 전국 14개 지방수출지원센터를 통해 운영 중인 보호무역 모니터링 체계를 중국 대응 태스크포스(TF)로 격상하고 수출 애로사항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로 했다. 또 피해 기업을 선제적으로 지원하는 긴급 경영안정자금도 750억원에서 1250억원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