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정시운행’보다 ‘안전’에 무게
입력 2017-03-09 00:00
서울시가 지하철 운영 패러다임을 ‘정시성(定時性)’에서 ‘안전’ 위주로 전환한다. 이를 위해 노후 전동차 610량을 2020년까지 새로 교체하고 스마트통합관제 시스템을 구축한다. 안전관리 인력도 대폭 확충한다.
시는 8일 2030년까지 총 7조8000억원을 투자해 시설·인력·시스템 등을 대폭 보강하는 내용의 ‘서울지하철 안전보강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21년 이상 장기사용 중인 전동차 가운데 2∼3호선 610량을 2022년까지 신규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상대적으로 사용기간이 짧은 4∼8호선은 연차별 정밀안전진단을 거친 후 추가 교체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신규 전동차에는 승강장안전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출입하지 못하도록 자동 연동되는 ATO(자동열차운전장치)시스템이 적용된다. 그 전에는 승강장안전문이 열린 채로는 열차가 출발하지 못하도록 1∼4호선에 무선주파수(RF) 방식 제어시스템을 우선 도입할 계획이다.
또 전차선로, 열차신호설비 등 21종의 노후시설도 2030년까지 총 2조2000억원을 투입해 개량할 계획이다. 30년 이상된 노후역사 120개에 대한 리모델링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75개는 이미 완료했고 45개는 1조1250억원을 투입해 승강편의시설 설치 등의 리모델링을 추진한다. 내진보강 공사(총 53.2㎞)도 2020년까지 마무리한다.
시는 서울메트로(1∼4호선)와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의 통합과 연계해 안전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스마트통합관제시스템’도 2023년까지 구축한다.
안전관리인력을 역마다 2명씩 총 556명으로 확대하고 지하철보안관 50명을 충원한다. 기관사 및 지원인력 104명을 추가 확보해 7호선 일부구간에서 2인 승무제를 시범 실시할 계획이다. 서비스중심의 역무실과 고객상담실은 ‘안전센터’로 개편한다.
운영시스템도 안전 위주로 개정했다. 차량고장 시 관제보고보다 승객 안내방송을 먼저 실시하도록 했다. 단전 시에도 방송이 가능한 무정전 방송장치를 2020년까지 2942량에 확대 도입한다. 전동차 정비 및 유지보수 시간확보를 위해 오전 1시까지인 지하철 심야 연장운행시간을 30분 단축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스마트안전지하철’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지능형 CCTV·객차혼잡도 안내·부정승차 자동단속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안정적 재원확보를 위해 무임수송손실 국비지원과 노후시설 보강을 위한 국비지원(40%)을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청할 방침”이라며 “노후시설 재투자를 위한 공사채 발행이 가능하도록 행정자치부에 발행기준 개선도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