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한국 배치 작업이 시작되면서 중국의 반발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7일 사드 배치 반대 입장을 재차 강력하게 표명했다. 겅솽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는 한·미 사드 배치를 결연히 반대하고 필요한 조치를 결연히 취해 우리의 안전 이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향후 발생하는 모든 뒷감당은 한·미가 부담해야 한다”면서 “우리는 사드 배치 과정을 즉각 중단하고 잘못된 길에서 더 멀리 가면 안 된다는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에 대해선 “모든 조치는 법에 따른 것”이라고 억지 주장을 폈다.
중국 관영 언론들도 관련 소식을 긴급뉴스로 전했다. 환구시보는 “한국은 사드를 1∼2개월 내에 배치를 끝내고 이르면 4월에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CCTV는 “한·미 양국은 하나의 묵계가 있다”면서 “그것은 바로 사드 배치로 중국에 대한 미사일방어체계를 완성하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사드 배치에 속도를 내면서 한국에 대한 보복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중국은 이미 한국행 관광상품 판매 중단과 함께 사드 부지 제공을 이유로 중국 내 롯데 매장에 대한 영업정지 조치에 나섰다. 또 중국 항공 당국은 한국 항공사들에 대한 전세기 및 신규 취항 불허 등의 불이익을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는 중국의 보복이 롯데와 관광·한류에 국한돼 있다. 하지만 앞으로 전체 한국 기업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일각에서는 주한 중국대사 소환 등 외교적인 조치까지 이어질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일부 언론은 한국과의 ‘준(準)단교’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 교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최근 베이징에는 사드 반대 구호를 내건 차량 광고까지 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인 커뮤니티 등에는 중국 공안이 한인 밀집지역인 베이징 왕징 지역의 한인 상인에 대해 불시 점검에서 취업증과 여권을 대조하는 등 위기감을 조성하고 있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다.
한편 자유한국당 이현재 정책위의장은 이날 산업통상자원부와 당정협의 후 “사드 보복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 위배되는지를 따져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적극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中 “배치 결연히 반대… 뒷감당하라”
입력 2017-03-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