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실리는 트럼프 정부 ‘對北 강경론’

입력 2017-03-07 05:00

북한이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두 번째 미사일 도발을 6일 감행함에 따라 미국이 강경 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이미 북한 미사일 발사시설 선제타격 등 군사행동과 정권교체, 전술핵무기의 한국 재배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추가 배치와 같은 초강경 조치들이 고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직후 미 국무부는 “가용한 모든 능력을 사용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12일 북한이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을 쐈을 때는 미국이 경고 메시지만 보냈다. 그러나 북한이 재차 도발함에 따라 트럼프가 구체적인 행동을 취할 가능성이 커졌다.

최근 트럼프는 북한을 비난하는 발언을 수차례 쏟아냈다. 특히 지난달 23일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미사일 도발에 대해 “매우 화가 나 있다”고 말했다. 여러 강경 옵션을 검토 중인 백악관은 이달 안에 대북정책을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도 분노로 격앙됐다. 미사일 4발 중 3발이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떨어져서 더욱 그랬다. 이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긴급 소집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북한이 새로운 단계의 위협이 됐음을 확실히 보여준다”고 말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도 “우리나라 안전보장에 중대한 위협”이라고 북한을 비난했다.

일본 방위성 관계자는 “중국이 폭도를 통제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 지적처럼 중국은 김정남 피살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미사일 도발이 이어지자 더욱 난감해졌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북한이 미사일 발사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는 것에 반대하며, 북한을 겨냥한 한·미 연합 군사훈련에도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과 한·미를 뭉뚱그려 자제를 촉구하는 애매한 태도를 취한 것이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열리는 와중에 미사일을 쏜 게 중국에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동아시아 담당을 지낸 데니스 윌더는 “김정은이 중국을 찔러보는 효과도 노렸다”고 지적했다.

글=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