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교과서 보조교재 83개 중·고교서 신청

입력 2017-03-07 00:00 수정 2017-03-07 00:50
공기가 탁한 날에는 등굣길 어린이도 횡단보도에서 두 걸음 물러나 호흡기 건강을 지켜야 한다. 미세먼지와 황사가 심해지는 봄철을 맞아 유한킴벌리가 6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스쿨존 황사 마스크 착용 요령을 소개하는 행사를 열고 있다. 김지훈 기자

역사 수업에서 국정 교과서를 보조교재나 읽기자료로 활용하는 중·고교가 83곳으로 집계됐다. 대구·경북에서만 25곳이 신청했다. 교육부가 국립 중·고교와 재외 한국학교에도 보급하기로 하면서 국정 교과서를 비치하는 학교는 130여곳에 이른다.

일부 고교에선 1학년생 전체에 국정 역사 교과서를 보급해 보조교재로 쓸 것으로 보인다. 주교재인 교과서와 비슷한 지위를 부여하는 학교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전국 유일 국정 교과서 연구학교인 경북 경산의 문명고처럼 학내 분쟁이 불거지는 학교가 늘어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교육부는 국정 교과서 희망학교 신청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중학교는 모두 33곳으로 공립 16곳, 사립 17곳이다. 고교는 49곳으로 공립 5곳, 사립 44곳이다. 특수학교는 1곳이다. 이 학교들은 모두 3982권을 주문했다. 중학교는 역사①②와 고교 한국사 등 1744권, 고교에선 2198권을 신청했다. 특수학교는 40권이다.

100권 이상 신청한 학교는 중학교 1곳, 고교 8곳이었다. 이 학교들은 국정 교과서를 학생들에게 나눠줘 보조교재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중학교 1곳은 한 학년에 85∼98명인데 국정 교과서 120권을 신청했다. 고교 3곳은 1학년생 머릿수보다 많은 교과서 수량을 신청했다. 고교에서 역사는 통상 1학년 때 배운다.

교육부가 절차적 하자를 눈감았다는 비판도 나온다. 국정 교과서는 역사 수업의 보조교재나 읽기자료, 도서관 비치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 중 전체 학생이 배우는 교과용 도서의 경우 학교별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보조교재 활용 가능성이 높은 학교들이) 학교운영위를 거쳤는지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전체 학생에게 배포될 경우 학운위를 거치도록 권고하긴 했다”면서도 “통상 비용이 들어가는 교재의 경우 학운위 심의를 꼭 받도록 하고 있지만 국정 교과서는 무료여서 예외가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역별로는 경북이 19곳으로 가장 많았다. 경기 13곳, 서울 11곳, 충남 10곳, 대구 6곳, 부산·대전·경남 5곳, 울산 4곳, 충북 3곳, 인천·광주 1곳이다. 교육부는 또 전국 28개 국립 중·고등학교와 22개 재외 한국학교에도 국정 교과서를 보내기로 했다. 학교별로 20부 내외로 지원한다. 따라서 국정 교과서가 배포되는 학교는 연구학교 1곳을 포함해 모두 134곳이 됐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