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연일 전 세계 국가들과 무역 주도권 싸움을 벌이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타깃이 중국이 아닌 독일이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현지시간) ‘중국이 무역에 열을 올리지만 커가는 건 독일의 힘’이라는 기사를 통해 미국이 ‘무역 균형’을 맞추기 위해 주목해야 할 국가는 독일이라고 지목했다.
독일 경제연구소 Ifo에 따르면 지난해 독일의 무역흑자는 2970억 달러(약 343조4800억원)로 중국(2450억 달러·283조3425억원)보다 많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무역흑자도 중국의 경우 2007년 10%에서 지난해 3%까지 떨어졌지만 독일은 2000년부터 상승세를 타며 8.5%에 달했다.
소비보다 저축을 즐기는 독일의 국민성이 무역흑자의 배경으로 꼽힌다. 여기에 지난 3년간 달러화에 대한 유로화의 가치는 4분의 1가량 떨어졌다. 미국 입장에선 독일의 소비와 투자가 절실하지만 이를 이끌어낼 수단은 마땅치 않다. 독일에선 중국과 달리 정부 보조금이나 무역장벽 등 불공정행위도 벌어지지 않는다. 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캐롤라인 프로인드 연구원은 “독일의 10대 수출품목 가운데 9개 품목이 미국의 10대 수출품목과 겹친다”며 “기계와 전자제품 분야에서 겨루고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 1일 미 정부가 발표한 무역정책 보고서에선 중국 캐나다 멕시코 한국이 집중 포화를 맞았다. 여기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전과 비교해 한국에 대한 무역적자액이 배 이상 늘었다”는 언급도 나왔다. WSJ는 이에 대해 “중국을 제외한 3개국 무역흑자를 합한 것보다 독일의 대미 무역흑자가 더 크다”고 꼬집었다.
김미나 기자 mina@kmib.co.kr
“트럼프 골칫거리, 中 아닌 獨”
입력 2017-03-06 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