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인구증가를 위한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올해 총 2조 9800억원을 투입할 것이라고 6일 밝혔다.
울산 인구는 각종 미래 중장기 정책에 따라 2030년 기준 150만명에 맞춰져 있는데 2015년 12월 120만여명을 기록한 이후 15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월말 현재 울산의 주민등록 인구는 119만여명이다.
인구 급감 배경에는 출산율 감소와 주력산업인 조선업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울산을 떠나는 전출 인구가 전입 인구보다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시는 이날 올해 정주여건 개선대책 보고회에서 인구증가·베이비부머 정주여건·청년지원 등 3개 분야 83개사업을 추진과제로 선정했다.
인구 증가 대책은 ‘출산·보육 친화도시 조성’을 비롯해 5개 전략에 ‘다자녀 출산 지원 조기 확대’ 등 20개 과제다. 베이비부머 정주여건 대책으로는 일자리 창출 등 4개 전략에 ‘일자리 네트워크 구축’ 등 23개 과제가 마련됐다. 청년지원 대책은 청년의 일할 기회 확대 등 6개 전략에 ‘일자리 창출기업 청년인턴 확대’ 등 40개 과제로 구성했다.
울산시는 구체적인 실현방안으로 산업단지 조성확대와 기업유치 활성화, 강동권 해양복합도시 조성 등을 선정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 운영, 은퇴자 지역사회 협력사업 등의 프로그램도 더욱 활성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시, 인구 감소 대책에 3조 푼다
입력 2017-03-06 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