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우리 공관들이 중국인들에 대한 비자 발급 신청을 직접 받기로 했다. 중국 당국이 사드 배치 결정을 이유로 한국 여행 상품 판매금지 지시를 내린 이후 여행사들이 비자 발급 대행 업무까지 중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지정된 여행사들을 통한 비자 발급이 대부분이었다.
주중 한국대사관은 5일 공지문을 통해 “지난 3일부터 중국인의 비자 신청 편의를 위해 비자 서비스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관광비자와 의료관광비자를 포함해 모든 비자 신청을 여행자 본인이 직접 대사관이나 영사관 등 공관을 방문해 신청할 수 있게 했다. 또 기존 지정 여행사나 대리인을 통한 신청도 가능하다.
대사관은 아울러 “중국 SNS에 빠르게 유포되고 있는 ‘한국 비자 발급 중단 소식’은 사실적 근거가 없는 허위이며 한국 방문을 위한 비자 발급은 정상적으로 시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와중에 중국의 보복 조치는 계속되고 있다. 외교 소식통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장쑤성 창저우시 롯데마트 창저우 2호점과 저장성 항저우시 샤오산점이 지난 4일부터 1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받고 영업을 중단했다. 시 당국은 소방시설이 규정에 맞지 않게 설치돼 있다면서 이 같은 제재를 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같은 처분을 받은 랴오닝성 단둥시 단둥완다점과 둥강시 둥강점 등 2곳과 함께 지금까지 영업이 중단된 롯데마트 점포는 4곳이다. 중국의 롯데마트는 112곳으로 현재 소방 점검이 계속되고 있어 추가로 영업정지 처분을 받는 영업장이 계속 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불매운동’과 점포 주변에서 벌어지는 시위 때문에 평범한 중국인들까지 롯데마트를 가기 꺼릴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인터넷에서는 중국인들이 롯데마트 매장에서 롯데에 불만을 터뜨리는 동영상도 확산되고 있다.
롯데에 대한 보복은 거의 전 상품으로 확대되는 상황이다.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 사이트 씨트랩은 최근 개별 여행자들이 예약할 숙박업소 리스트에서 롯데호텔을 아예 삭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국민의당 대선 주자인 손학규 전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은 5일 중국의 한국 관광 금지로 큰 타격을 입은 서울 명동을 찾아 상인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원유철 자유한국당 의원은 전날 롯데마트 서울역점 앞에서 중국의 보복 조치에 항의하는 1인 시위를 벌였다. 그는 ‘중국은 사드압박 중단하고 북핵 문제 해결하라’ ‘국민을 지키기 위해 고통 받는 롯데를 응원한다’는 내용이 담긴 피켓을 들고 항의했다. 원 의원은 이후 주한 중국대사관 앞으로 이동해 항의 시위를 이어갔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사진=윤성호 기자
주중 한국 공관들, 중국인 비자 직접 발급
입력 2017-03-06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