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만 해도 하루 평균 200명 정도는 왔는데 2∼3일 전부터는 하루 10명 보기도 힘들어요.”
5일 오후 2시 ‘제주 속 작은 중국’으로 불리며 평소 중국인 단체관광객들로 붐볐던 제주시 중앙지하상가에는 물건을 사려는 중국인 대신 가게를 지키고 앉은 상인들의 한숨소리가 곳곳에서 흘러 나왔다.
화장품 가게를 운영하는 이영순씨(49)는 “공항과 항구가 가까워서 중국인 단체관광객들로 항상 북적였는데 오늘은 상가가 아예 텅 비었다”며 “다들 죽겠다고 난리다. 이렇게까지 매상이 떨어진 적이 없었는데 장사를 계속할 수 있을지 앞이 캄캄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정부의 ‘중국인 한국관광 전면금지’ 결정으로 중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85%에 달하는 제주지역 경제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제주도관광협회 관계자는 “칭다오·충칭·광저우 등에서 당장 제주 관광상품 판매가 전면 중단될 것”이라며 “이달 유채꽃 걷기대회와 5월 마라톤 행사 등 제주 여행상품을 구매했다가 취소하는 사태가 줄줄이 이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동안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적극 나섰던 각 지방자치단체에도 비상이 걸렸다. 각 지자체들은 민관합동 긴급회의를 개최해 피해상황을 진단하고 대책을 숙의하는 등 업계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마련에 나섰지만 뾰족한 대책이 없어 부심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 인천시,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인천관광공사, 인천항 9개 한·중 카페리 선사관계자들은 6일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긴밀한 공조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경기도도 관련 기관들과 긴급회의를 열고 방한금지령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한다.
대구시는 대구관광정책협의회 안에 ‘중국전략추진본부(T/F)’를 구성하고 중앙 정부와의 긴밀한 공조체계를 유지키로 했다. 또 베트남·인도네시아 등을 겨냥한 다변화 마케팅 전략을 세우기로 하고 동남아 관광객의 한국 입국 시 비자면제를 중앙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또 단체관광객이 아닌 개별관광객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지역의 대학교 관광학과 학생(중국 유학생 포함)들로 서포터즈를 구성, 중국 SNS에 지속적으로 대구관광 콘텐츠를 노출하는 방법을 모색하기로 했다.
전남도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일본, 홍콩, 동남아 시장을 대상으로 전세기 상품 개발과 크루즈 유치를 위해 현지 마케팅 및 온라인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5월 3일부터 1주일간 일본 현지 여행박람회에 참가하고, 홍콩에서는 남도 먹거리 등 관광자원 홍보를 통한 공동 계절 캠페인도 전개한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베트남에서는 봄·가을 계절상품 운영 및 관광설명회도 연다.
제주도는 일본·대만·홍콩 등 동남아 관광시장에 대한 마케팅 활동을 조기에 확대 가동하고, 접근성 확보를 위한 전세기 운항 지원 및 동남아시아의 이슬람권 국가로 관광시장 저변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오는 28일부터 대만 타이베이∼제주 직항 노선을 주 2회 운항하고, 6월 7일부터 주 4회로 확대·운항한다.
도는 또 여행사 대면 접촉을 통해 ‘싼커'(散客)’로 불리는 중국인 개별관광객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고, 비상상황실을 운영해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전문으로 하는 기념품점·호텔·전세버스·숙박업소에 대한 지원방안도 마련키로 했다.
전성태 제주도 행정부지사는 “무사증 제도를 활용한 틈새시장 공략과 직항노선 대신 홍콩을 비롯해 타 지역을 공유하는 우회노선 운항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전국종합·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中 ‘금한령’ 직격탄… 춘삼월 지역경제 ‘꽁꽁’
입력 2017-03-05 1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