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3일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를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하지만 해법은 달랐다. 범여권은 사드 배치를 군사주권의 문제로 보고 정부에 단호한 대응을 주문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사드 배치를 차기 정부로 넘겨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중국의 한국 여행상품 판매 중단 지시에 대해 “치졸하고도 오만한 행태이며 자칭 대국의 횡포”라고 거친 발언을 쏟아냈다. 정 원내대표는 “중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은 저지하지 않고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모순을 저지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드 배치를 실질적으로 반대하는 사람은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뿐)”라며 “사드 배치는 일관되고 신속하게 추진돼야 할 국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한국당과 정부는 고위당정회의를 열어 3∼4월 중 예정된 중국과의 고위급 면담 및 자유무역협정(FTA) 실무협의 등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기로 했다. 당정회의에 참석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사드 배치 부지가 확보된 만큼 정부는 남은 절차가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미 간 협의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쐐기를 박았다.
야당도 중국의 보복 조치가 도를 넘었다고 성토했다. 동시에 사드 배치 강행도 문제 삼았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 당은 사드 배치의 졸속 추진도 반대하지만 대국답지 않은 중국의 태도도 단호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사드 배치 문제는 다음 정부로 넘기는 것이 현명하다”며 “국회에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논의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에선 유일호 경제부총리 책임론도 흘러나왔다. 유 부총리는 지난해 7월 정부의 사드 배치 결정 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출석해 “중국의 대규모 보복은 없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바른정당은 중국 당국과 한국 정부, 야당을 전부 겨냥하며 차별화를 시도했다.
대선 주자 중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의 발언 수위가 가장 강경했다. 유 의원은 대구 지역 기자간담회에서 “중국의 경제 보복으로 피해가 있다고 해서 사드 배치를 다음 정부로 넘기는 일은 있을 수 없다”고 했다. 그는 한발 더 나아가 “우리 경제의 중국 의존도가 너무 높다”며 수출입 및 교역투자 다변화도 제안했다. 반면 이재명 성남시장은 “중국을 설득해 ‘참아주세요’라고 인내를 요구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사드 철회가 유일한 길이고 해답”이라고 정반대의 주장을 폈다.
문재인 전 대표 경선캠프 대변인인 박광온 의원은 “중국 정부의 과도한 보복 조치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우리 기업과 국민에 대한 압박과 위협을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안희정 충남지사 측 박수현 대변인도 “안보문제로 확대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좋은 친구가 되기 위해 넘지 말아야 할 선이 있다”고 에둘러 경고했다.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
정치권도 ‘中 사드 보복’ 비판… 해법엔 이견
입력 2017-03-03 17:52 수정 2017-03-03 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