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드보복 추태] 할 말 잃은 업계

입력 2017-03-03 18:22 수정 2017-03-03 21:15

중국이 한국 여행상품 판매를 금지한다는 소식에 여행업계가 비상이 걸렸다. 중국인 관광객(유커) 비중이 월등히 높아 적잖은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는 3일 중국 지사와 화상 회의를 하며 현지 여행사를 상대로 사태 파악에 나섰다. 중국 국가여유국이 베이징 지역 여행사를 대상으로 구두 조치를 한 것으로 알려진 데다 이런 방침이 중국 전역으로 확대되면 국내 여행 산업의 근간이 흔들릴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유커 비중은 전체 관광객 중 약 47%로 절반에 달한다.

업계에서는 “올 것이 왔다”는 분위기다. 중국 정부가 사드(THAAD) 보복 성격으로 지난해 10월 단체관광객 수를 줄였을 때도 적잖은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7월 91만7519명까지 증가했던 유커 규모는 10월 68만918명, 11월 51만6956명으로 크게 줄었다.

뾰족한 대책도 없다. 중국인 매출 비중이 70∼80%에 달하는 면세업계는 마땅한 대응책도 없어 발만 구르고 있다. A면세점 관계자는 “국가를 다변화하고, 싼커(散客·개별 관광객) 유치에 힘을 쏟고 있지만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B면세점 관계자는 “중국 정부 규제로 일본 관광 수요가 한국으로 몰렸던 것처럼 단 한 번의 조치만으로 국내 관광산업이 휘청할까 우려 된다”며 “당장 대책을 찾기가 힘든 게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특히 이번에는 중국 정부가 여행사를 통한 개별 여행객의 항공권 발권도 중단하도록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항공사들도 긴장하고 있다. 대한항공 중국 노선 매출은 전체 여객 노선의 13% 정도로 미주, 동남아, 유럽 다음으로 네 번째다. 아시아나항공 역시 중국 비중이 19%에 달한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서비스수지가 33억6000만 달러 적자로 사상 최대 적자액을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설 연휴를 맞아 해외 여행객은 급증한 반면 한국을 찾은 외국인 여행객 수는 전월 대비 줄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 조치로 한국행 여행 규제가 본격화되면 적자폭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글=김유나 박세환 허경구 기자spring@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