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는 중국 정부가 한국 관광을 전면금지하는 등 사드 보복에 나선 것은 “비이성적이고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미 국무부는 2일(현지시간) 논평을 내고 “사드는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방어적 조치”라며 “이를 비판하거나 한국에 압력을 가하는 것은 비이성적이고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미국은 동맹들에 대한 철통같은 방위공약을 재확인하며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종합적인 동맹 능력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면서 “한·미동맹의 사드 배치 결정에 중국이 한국의 민간 기업에까지 조치를 취했다는 보도에 우려하고 있으며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지난달 1일 한국을 방문하는 전용기 안에서 “북한의 도발적 행동이 아니었다면 사드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며 “북한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은 사드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사드 배치가 중국의 전략적 이해를 침해한다는 중국의 주장을 일축한 것이다.
매티스 장관은 한·미 연합 독수리훈련 첫날인 지난 1일 한민구 국방장관과의 전화 통화에서도 사드 배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으로부터 한국 국민과 한·미동맹의 군사력을 보호하기 위한 결정이라는 점을 재확인했다.
한편 뉴욕타임스(NYT)는 경제 전문가들을 인용해 “한국은 중국의 4대 교역국이기 때문에 중국이 사드 문제로 한국에 대해 더 극단적인 경제적 보복 조치를 취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특히 지금같이 경제가 위축됐을 때 한국과의 교역에 심대한 손상을 가하는 행위를 중국부터 피하고 싶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美 “中, 비이성적이고 부적절”
입력 2017-03-03 1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