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조기 대선 현실화한다면… ‘토론 선거’로 치르자

입력 2017-03-03 17:31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의 첫 토론회가 3일 열렸다. 라디오로 중계된 이 자리를 포함해 민주당은 모두 10차례 토론회를 마련했다. 다른 정당도 조만간 본격적인 경선 일정에 돌입할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당할 경우 대선은 불과 두 달 동안 치러진다. 후보를 검증할 시간이 매우 짧다. 자질과 능력을 제대로 파악해 최선의 선택을 하려면 부족한 시간을 최대한 생산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토론은 가장 생산적인 검증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정치인이 어떤 정책을 내세우느냐와 그것을 해낼 수 있느냐는 다른 문제다. 정책을 실행하려면 국민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하고, 토론은 그런 설득력을 가졌는지 판단하는 기회가 된다. 검증 시간이 부족한 선거일수록 더 많은 토론이 필요하다.

토론의 질적인 향상도 이뤄져야 한다. 상대방을 흠집 내는 자리, 너무 많은 이슈를 다루느라 수박 겉핥기가 되는 자리, 짧은 시간에 질문과 답변을 쏟아내는 순발력 테스트 같은 자리여선 후보의 역량을 충분히 알 수 없다. 토론 횟수를 늘리면서 다양한 형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지난 1월 정운찬 전 총리가 제안했던 ‘경제 현안 공개토론회’처럼 특정 분야에 국한하거나, 후보들에게 답변시간을 충분히 제공해 실제로 논리적 설득을 해보도록 유도하는 심층토론 방식을 검토해야 한다.

박근혜정권의 실패는 사실상 지난 대통령 선거의 실패다. 박근혜 후보에게 이런 비선의 그림자가 있다는 사실, 국정을 이끌 역량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대부분 유권자가 알지 못했다. 후보를 가렸던 베일이 벗겨지지 않은 데는 선거 당시 ‘토론 회피’ 논란이 일었을 만큼 충분한 토론 무대가 마련되지 않은 점도 작용했다. 이번 대선이 그 전철을 밟아선 안 된다. 활발한 ‘토론 선거’가 되도록 경선과 본선의 각종 토론회에 유권자가 많은 관심을 보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