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정보통제 혈안… 美연구소, 탈북자 조사 보고서 검열프로그램 의무화 등 조처

입력 2017-03-02 18:21
한 북한 남성이 2015년 5월 평양에 있는 김일성과 김정일 대형 초상화 앞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AP뉴시스

북한 정부가 외부 정보 유입을 전보다 훨씬 엄격하게 통제하고 나섰다. 워싱턴포스트(WP)는 1일(현지시간) 미국 비영리 국제문제 연구소인 인터미디어가 최근 탈북자 34명을 인터뷰해 내놓은 보고서를 바탕으로 이같이 보도했다. 북한 주민들이 한국 드라마와 서적, 뉴스를 보려고 갖은 방법을 사용하자 당국도 보다 치밀한 차단 조치를 마련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 주민들은 최근 DVD보다 은폐가 쉬운 USB와 SD카드를 이용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탈북한 주민 81%는 북한 내에서 USB를 소지했다고 응답했다. 냇 크렛천 인터미디어 연구원은 “다양한 통로로 정보 확산이 계속되고 있다”며 “북한 당국이 정보와의 전쟁을 벌이는 증거도 확보했다”고 밝혔다.

당국은 새 장치와 기술에 맞서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2013년 웹 브라우저에 검열 프로그램 ‘트레이스뷰어’ 설치를 의무화했다. 삭제되지 않게끔 고안된 이 프로그램은 웹 기록과 활동 내역을 수집하는 기능이 탑재됐다. 휴대전화에 꽂았던 SD카드를 제거한 후에도 활동을 추적할 수 있다. 당국이 인가하지 않은 프로그램을 차단과 동시에 삭제하는 프로그램도 설치됐다.

외부 통신신호 차단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얼마 전까지 중국과 국경이 맞닿은 북한 일부 지역에는 중국 측에서 넘어온 통신신호를 잡을 수 있었다. 그러나 당국은 전파방해기와 신호탐지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신호를 차단하고 있다. 평안북도에 살다가 2013년 탈출한 59세 남성은 “어느 날 집에 들어와 중국에 전화를 걸었더니 도청하던 단속반이 30초 만에 들이닥쳤다”고 증언했다.

권준협 기자 ga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