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의 중국 ‘종교탄압 강화’… 프리덤하우스 보고서 발간

입력 2017-03-03 00:01
사진=국제인권감시단체 프리덤하우스 홈페이지 캡처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체제 출범 이후 중국 정부의 종교 탄압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신교에 대한 억압의 수위가 두드러지게 높아진 것으로 드러나 중국 내 자유교회들이 직면한 엄혹한 현실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미국 워싱턴DC의 국제인권감시단체 프리덤하우스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중국 (정부)의 영적 투쟁’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내고 2012년 중국의 새 지도부 확립 이후 종교별 박해 상황에 대한 분석을 내놨다. ‘시진핑 체제하의 종교적 부흥과 억압, 저항’이란 부제를 단 이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개신교에 대한 탄압은 분리독립을 주장하는 신장위구르자치구의 회족 무슬림(이슬람교도)과 비슷한 추세로 악화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초부터 중국에선 기독교 교세 확장을 차단하기 위해 지방정부 단위에서부터 종교적 박해 수위를 높여온 것으로 나타났다. 시 주석 체제에서 중국 개신교의 경우 지역 당국이 교회에서 십자가를 떼어내고 예배당을 철거하는가 하면 교계 지도자들에 대한 처벌도 많아졌다. 개신교 신자의 소송을 담당한 인권 변호사들의 활동이 제한되는가 하면 성탄절을 비롯한 교계 연례행사들도 금지됐다.

전면적인 탄압은 중국 정부가 허가한 교회도 예외가 아니었다. 2015년 7월 중국 저장성의 친정부 성향의 기독교 평의회가 지방정부에 공개서한을 보내 “십자가를 떼어내는 정책적 실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요청한다”면서 “이런 조치가 결국 당(공산당)을 갈라놓고 인민을 분열시킨다”고 당국을 규탄할 정도였다.

중국 정부는 표면적으로는 서구식 가치의 위협과 외래종교의 ‘중국화(Sinicize)’를 내세웠는데, 시 주석이 2016년 봄 연설에서 “종교를 통한 외세의 침투에 결연하게 맞서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이런 맥락을 뒷받침한다. 중국 당국은 시 주석 체제 이전부터도 개신교에 대한 감시와 통제를 지속해 왔을 뿐만 아니라 교인들을 관제 목회자들이 이끄는 ‘애국 단체’들과 연계해 어용 교회의 울타리에 가둬두려 했다. 하지만 이에 반발해 독립된 자유교회를 개척한 개신교도들은 여러 가지 불이익과 사법적 위협의 대상이 됐다.구성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