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이전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東高西低’

입력 2017-03-01 18:17
전국 혁신도시에 입주한 공공기관들의 지역인재 채용이 동고서저(東高西低)의 현상을 보이고 있다. 기업이 많은 영남권은 20%를 유지하는 데 비해 일자리가 부족한 호남권은 오히려 10%대로 저조하다.

1일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국가 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 해소를 위해 공공기관들이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한 이후 지역인재 채용이 지역별로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공공기관의 혁신도시 이전이 본격화된 2013년부터 지역인재 채용을 적극 권하고 있다. 지역인재의 취업기회 확대 차원에서 지자체 등이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한 혁신도시법과 지역인재 채용비율을 35%로 권고한 지방대육성법 제정 등을 통해서다.

이에 따라 전체 지방이전 공공기관 109곳의 지역인재 채용률은 2014년 10.2%(8693명 중 888명)로 처음 두 자릿수를 기록한 데 이어 2015년 12.4%(8954명 중 1109명), 지난해 13.3%(1만18명 중 1333명) 등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지역인재 채용은 주요 혁신도시별로 2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국 10개 혁신도시의 지역별 채용률을 살펴보면 부산의 채용률이 27%로 가장 높았고 대구가 21.3%, 경북이 17.4%로 뒤를 이었다.

반면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는 2015년 14.2%에서 지난해 11.4%로 떨어졌고, 전북 역시 13.1%로 전국 평균에도 못 미쳤다.

가장 규모가 큰 한전의 지역인재 채용률은 2015년 10.8%에 이어 2016년 8.8%로 매우 낮았다.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에 입주한 공공기관 16곳 가운데 농촌경제연구원과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 6곳은 아예 지역인재 인센티브도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역인재 채용이 단순한 권장사항일뿐 법적 의무조항이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이로 인해 지역별·기관별 채용비율 편차가 줄지 않고 있다.

급기야 일자리가 부족한 광주·전남과 전북의 경우 해마다 1만 명 정도의 대졸자 등 우수 지역인재들이 기업이 밀집한 서울·경기 등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면서 지방이전 공공기관과 지자체의 경쟁력을 갉아먹고 있다.

전남도는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률이 하락하자 2월 28일 오후 공공기관 10여곳과 지방대학 20여곳의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례적으로 간담회를 가졌으나 뾰족한 대책을 세우지는 못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부터 공공기관 평가에서 지역인재 채용에 대한 배점비율을 높이기 위해 기획재정부와 협의하기로 했으나 아직 논의단계에 머물고 있다.

문금주 전남도 기획조정실장은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인 빛가람도시의 지역인재 채용률이 부산 혁신도시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며 “청년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얻고 고향에 뿌리를 내릴 수 있어야 지역과 나라가 상생하는 균형발전을 이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종합·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