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의 야만적인 사드 보복 규탄한다

입력 2017-03-01 17:27
롯데가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부지를 제공키로 한 뒤 중국의 보복이 본격화되고 있다. 불매운동이 사실상 시작됐으며 군사적 위협도 서슴지 않았다. 중국 측이 도를 넘어섰다는 비판과 함께 우리 정부와 정치권이 적극 대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국의 거대 온라인 쇼핑 사이트 징동닷컴은 갑자기 롯데마트관을 폐쇄했다. 사이트에서 유명 한국 브랜드 상품이 사라지기도 했다. 또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1일 사설을 통해 “한·중 갈등이 가속하고 있어 삼성과 현대 등의 기업도 조만간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며 “유명 한국 유통업체들도 중국 소비자들의 제재를 받아야 한다”고 위협했다. 신화통신도 중국 소비자들이 국가 안전을 위해 롯데 제품을 거부할 수 있다며 불매를 선동했다.

글로벌타임스는 군사 전문가 쑹중핑과의 인터뷰 기사를 통해 사드가 배치되면 경북 성주가 중국 전략 핵미사일 운용 부대인 로켓군의 타격 목표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매체는 환구시보의 영문판으로 중국 공산당의 입장을 대변한다. 앞서 인민일보의 해외판 공식 SNS는 롯데의 결정 직후인 지난달 27일 “중국은 한국과 준(準) 단교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글을 실은 바 있다. 이 모든 움직임이 중국 당국의 허가나 묵인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다.

이런 사태의 책임은 사드가 북한의 핵, 미사일에 대한 자위권적 방위수단임에도 이를 빌미삼아 보복을 단행하고 있는 중국 측에 있다.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초강대국의 지위를 인정받고 싶으면 중국은 그에 맞는 행동을 해야 한다. 말로는 자유무역을 외치면서 뒤로는 무뢰배 같은 짓을 하면 안 된다.

중국의 야만적인 보복에 전혀 제동을 걸지 못하고 있는 우리 정부와 정치권의 책임도 크다. 국가 안보를 위해 부지를 내놓은 민간 기업이 이로 인해 중국으로부터 몰매를 맞게 됐는데도 정부는 강 건너 불구경하는 모양새다. 1당인 더불어민주당과 문재인 전 대표는 사드 배치를 차기 정부에서 논의하자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국민의당도 반대 당론을 유지하고 했다. 집권 가능성이 높은 야당들이 이러니 중국이 막무가내로 나가는 것이다. 정부와 정치권의 대오각성이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