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증시 불공정거래 절반 ‘미공개 정보 이용’

입력 2017-03-01 18:51
지난해 주식시장에서 적발된 불공정거래의 절반이 ‘미공개정보 이용’으로 나타났다. 미공개정보를 이용한 혐의자 10명 가운데 6명은 최대주주, 임직원 등 기업 내부자였다. 도덕적 해이가 심각한 수준이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지난해 불공정거래 사건이 177건으로 전년(130건)보다 늘었다고 1일 밝혔다. 미공개정보 이용행위가 불공정거래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불공정거래의 49.7%(88건)나 됐다. 전년보다 83.3%나 급증했다. 특히 경영권 변동이나 중국 테마 관련한 사건의 비중이 커졌다.

미공개정보를 이용한 혐의자는 내부정보 접근이 쉬운 최대주주와 관련자가 35.1%를 차지했다. 기업 임직원도 27.3%로 적지 않았다. 기업 내부자들이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주가 조작에 가담했다는 의미다.

표적은 대부분 조작이 쉬운 소형주(59.2%)였다. 불공정거래 사건의 62.2%(107건)는 중소형주가 많은 코스닥시장에서 벌어졌다. 코스닥의 하부시장 격인 코넥스시장에서도 6건이 일어났다.

한편 거래소는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사이 관리종목 현황도 발표했다. 관리종목이란 자금이 충분치 못하거나 부실이 심각해 거래소가 직접 관리지정한 종목이다. 지난해 52개 종목이 편입됐다.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하면서 관리종목으로 편입된 경우가 16개, 자본잠식이 15개였다. 관리종목으로 신규 편입된 종목 중 69.2%(36개)는 주가에 악영향을 받았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