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한반도 배치에 보복 운운하며 협박하고 있는 중국을 향해 ‘비이성적이고 부적절하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중국 언론들은 한국과의 ‘준(準) 단교’ 조치까지 거론하며 연일 한국을 압박하고 있다.
알리시아 에드워즈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27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 방송의 논평 요청에 대해 “사드 한반도 배치는 무모하고 불법적인 북한의 명백한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신중하고 제한적 조치”라며 “(중국이) 한국의 자위 조치를 포기하도록 압박하거나 비판하는 것은 비이성적이고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이 한국과 미국의 사드 배치 결정 때문에 한국의 민간 기업들에 보복 조치를 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우려하며 면밀히 주시 중”이라고 덧붙였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해외판이 운영하는 SNS 공식 계정인 협객도는 28일 ‘사드 배치하면 한·중 준단교 가능성 배제 못 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차기 한국 정부가 현재의 한·중 관계를 다시 회복하려 해도 사드 문제는 넘어갈 수 없는 고비”라며 “한국이 적당히 이 고비를 넘기려는 것에 대해 중국은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인민일보의 사설 격인 종성은 “한국이 사드 배치에 동의해 한국 자신을 한반도의 화약통으로 만들었고 사드가 가져온 것은 안전이 아니라 불안과 우려”라고 강조했다.
환구시보도 ‘롯데를 타격해 한국을 벌해야 한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한국은 한·중 수교 후 선진국 진입이 가속화됐는데 사드 배치를 고집하면서 동북아 협력 체계를 배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환구시보는 우선 롯데를 중국에서 장사 못하게 몰아내고, 다음으로는 중국인들이 ‘자발적으로’ 한국 문화와 연예 관련 상품을 멀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신화망은 김장수 주중 한국대사와의 인터뷰를 하루 앞두고 일방적으로 취소해 외교적 결례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베이징 소식통에 따르면 김 대사는 3일 시작되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앞두고 28일 신화망과 인터뷰 약속이 잡혔었다. 하지만 신화망은 취재 인력 부족을 이유로 27일 오후 김 대사 인터뷰를 취소하겠다고 알려온 것으로 전해졌다. 주중 대사관 측은 “대사 인터뷰를 하루 전에 취소하는 것은 납득이 가지 않는다”며 신화망에 강력히 유감을 표명하고 취소 이유를 정식 공문으로 제출해 달라고 요구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美 “사드 협박 中 비이성적”… 中 언론 “韓과 준단교”
입력 2017-03-01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