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재수’에 도전 중인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현재까지 선거(경선) 관련 활동비용을 모두 사비로 충당하고 있다. 현역 국회의원이 아니어서 공식적인 정치후원금을 모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문 전 대표는 우선 사비로 경비를 충당하고 당 예비후보 등록일인 지난 13일 이후 지출한 활동비용은 후원금으로 사후 정산 받을 계획이다.
문 전 대표 측은 조기대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선거 비용도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당내 경선이 4월 초 마무리된다고 가정할 경우 경선 비용은 8억원 미만이 될 것이라는 게 문 전 대표 캠프 예상이다. 문 전 대표는 2012년 민주통합당 경선에서 8억6414만6000원을, 대선에서 28억9001만2000원을 지출했다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보고했다.
문 전 대표는 활동비 마련을 위해 최근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법무법인 부산의 지분을 모두 처분했다고 한다. 지난해 7월 국회가 공개한 ‘제19대 퇴직의원 재산공개’에 따르면 당시 문 전 대표는 22.5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고, 출자가액은 8370만원이었다. 출간서적 판매에 따른 인세도 활동비의 주요 수입원이다. 2011년 출간한 ‘문재인의 운명’은 현재까지 약 30만부가 팔렸고, 지난달 펴낸 대담집 ‘대한민국이 묻는다’도 10만부 이상 팔린 것으로 알려졌다. 문 전 대표 스스로도 “인세가 큰 도움이 됐다”고 말한 바 있다.
문 전 대표 활동비 중 대표적인 고정비용은 캠프 사무실이다. 현재 서울 여의도 대산빌딩 4∼6층과 8층을 임차해 사용 중이며, 월 임대료는 800여만원 정도다. 앞서 보증금과 사무실 인테리어, 사무용품 구비도 문 전 대표 본인이 충당했다. 로고 제작비와 각종 행사에 사용하는 백드롭, 포스터와 홍보영상 촬영 등도 모두 문 전 대표 사비로 지출된다.
문 전 대표 측은 28일 “홍보기획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런 부분은 홍보부본부장인 손혜원 의원이 자원봉사로 돕고 있다”며 “캠프에서 활동하는 인력도 전원 자원봉사자로 인건비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후원금으로 정산할 수 없는) 예비후보 등록 이전 활동비용은 주로 교통비 수준이라 금액이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문 전 대표 지지그룹인 ‘더불어포럼’은 자체 경비로 운영 중이며, 싱크탱크인 국민성장도 참여 교수들이 십시일반 자금을 모아 운영 중이라고 캠프 측은 설명했다. 문 전 대표는 2일 공식후원회 ‘문재힘 위원회’를 발족할 예정이다.
현행법상 경선 후보와 대선 후보는 각각 선거비용제한액의 5%(50억여원)까지 후원금 모집이 가능하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원외’ 문재인, 활동비 전액 사비로 충당
입력 2017-03-01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