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올부터 전기차 40% 의무구매

입력 2017-02-28 18:16
올해부터 공공기관의 전기차 의무구매 비율이 25%에서 40%로 높아진다. 정부는 전기차 보급 확산을 위해 구매 이행 여부를 기관평가에 반영키로 했다. 하지만 공공기관 내부에선 활용도가 낮은 전기차를 정부 평가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구매해야 한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등 공공기관에서 매년 신규로 구매하는 차량의 40% 이상을 전기차 또는 수소차로 구매하도록 의무화한다고 28일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의무구매 비율이 25%였던 지난해 공공기관의 전기차 구매는 450여대였다”며 “올해는 1500대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지난해 전기차 의무 구매를 이행하지 않은 공공기관을 다음달 말 공개하고 이를 공공기관평가에 반영하겠다는 계획도 전했다. 산업부는 이날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공공기관 전기차 구매 상담회 및 시승식’도 진행했다. 정부의 전기차 보급 확산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기관의 특성에 맞는 전기차 모델을 비교·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취지에서 마련했다.

그러나 상담회를 찾은 공공기관 담당자들 사이에선 “세금으로 구매하는 차량”이라며 전기차의 효율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특히 상당수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들은 전기충전소 등 관련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기차는 장거리 출장에 아직 적합하지 않다는 고충도 털어놨다.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진주에서 왔는데 200㎞ 거리였다. 전기차로 그 거리를 달릴 수 있느냐가 문제”라고 주장했고, 또 다른 지자체 관계자는 “이미 보유하고 있는 전기차가 있는데 다들 사용하기를 꺼린다. 달리다가 멈추는 경우가 생기기도 했다”고 했다.

공공기관 평가 때문에 보여주기식 구매에 그칠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또 다른 공공기관 관계자는 “3년 전에도 정부 정책에 맞춰 하이브리드 차량을 대거 구매했다”면서 “전기차 공급정책을 내놓으니 또다시 눈치껏 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