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후발주자들 ‘원 포인트’ 차별화 전략

입력 2017-03-01 00:00 수정 2017-03-01 00:17
야권 후발주자들이 차별화된 메시지를 담은 ‘원 포인트’ 전략을 선보이고 있다.

각 당의 경선레이스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지지층을 향한 분명하고 간결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함이다.

호남을 방문 중인 이재명 성남시장은 경쟁자인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안희정 충남지사를 ‘동시 타격’했다. 이 시장은 28일 전남도의회 기자회견에서 “청산돼야 할 세력과 대연정의 이름으로 손을 잡는 것은 결국 권력을 갖자는 의도 외에는 없다”며 안 지사의 대연정론을 정면 비판했다. 이어 문 전 대표를 겨냥해 “어떤 후보는 재벌의 법정부담금을 깎아주자고 하는데 이는 재벌의 기득권을 늘려주겠다는 것”이라고도 했다. 문 전 대표는 대기업 준조세를 폐지해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겠다고 공약했다.

이 시장의 동시 타격은 자신을 기득권 청산과 정권교체의 적임자임을 강조하며 야권 텃밭인 호남 지지층 결집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안 지사는 ‘대통령 임기단축론’에 동의했다. 안 지사는 오마이뉴스 팟캐스트에 출연해 “대통령이 되면 국회 개헌특위 논의를 촉진시킬 것”이라며 “촉진된 결과가 임기 단축까지 포함된다면 따를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0년 총선에 대통령 임기를 맞추자는 제안이 올 경우 어떻게 할 건가’에 대한 답변이었다. 안 지사는 이어 “개헌 논의에는 자치분권 내용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며 전제조건을 달았다. 탄핵 이후 국정운영의 밑그림을 제시하며 안정감을 강조하려는 의도다.

안 지사는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책연구모임 토론회와 한국농축산연합회 정책제안서 전달식에 잇따라 참석하며 정책행보를 이어갔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는 교육혁명과 일자리 콘텐츠로 중·장년층을 공략했다.

안 전 대표는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한경닷컴 IT교육센터를 방문해 “구조조정 중인 지방대를 평생교육센터로 활용해 중·장년층과 직장인 재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며 “교육예산의 0.07%에 불과한 평생교육 예산을 선진국처럼 7%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