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 89년 역사상 초유의 일이 벌어졌다. 6개 부문을 휩쓴 영화 ‘라라랜드’가 작품상 수상작에도 호명됐으나 수상소감까지 다 마치고 뒤늦게 번복됐다. 이변의 주인공은 흑인 감독 배리 젠킨스(사진)가 연출한 ‘문라이트’였다.
26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돌비극장에서 열린 제89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시상자로 나온 원로배우 워렌 비티와 페이 더너웨이는 ‘라라랜드’를 수상작으로 발표했다. ‘라라랜드’의 전 스태프와 출연진이 무대에서 기쁨을 만끽하던 순간, 사회자 지미 키멜이 마이크 앞에 섰다. “작품상의 주인공은 ‘문라이트’입니다. 잘못 읽었다고 합니다.”
모두가 혼란에 빠진 가운데 ‘문라이트’ 팀은 얼떨떨한 표정으로 무대에 올라 수상소감을 밝혔다. 연출된 상황은 아니었다. 스태프가 작품상 시상자에게 여우주연상 시상 카드를 잘못 건네 벌어진 해프닝이었다. ‘문라이트’는 작품상 포함 3관왕에 올랐다. 이 작품은 흑인 소년이 어른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시적인 영상에 담아냈다.
애꿎은 피해자가 된 ‘라라랜드’는 다관왕을 거머쥔 것으로 작품상의 아쉬움을 달랬다. 감독상, 여우주연상, 음악상, 주제가상(‘City of Stars’), 촬영상, 미술상 등 6개 부문 트로피를 차지했다. 당초 역대 최다 후보(14개)에 올라 기대를 모았으나 최다 수상 기록(11개 부문)을 깨는 데는 실패했다.
32세로 역대 최연소 감독상을 수상한 다미엔 차젤레는 “라이언 고슬링, 엠마 스톤을 비롯한 모든 배우들께 감사드린다. ‘라라랜드’는 사랑에 대한 이야기다. 영화를 만들면서 사랑에 빠질 수 있었다”고 뭉클해했다. 여우주연상을 품에 안은 엠마 스톤은 “좋은 기회를 주신 감독님께 감사드린다. 난 아직 배우며 성장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남우주연상은 ‘맨체스터 바이 더 씨’에서 명연기를 선보인 케이시 애플렉이 받았다. 남녀조연상은 이례적으로 모두 흑인 배우에게 돌아갔다. ‘문라이트’의 마허샬레하쉬바즈 알리와 ‘펜스’의 비올라 데이비스가 조연상 수상의 영광을 누렸다.
올해 아카데미는 어느 때보다 정치적 이슈로 뜨거웠다. 시상식에 참여한 영화인들이 한목소리로 ‘반(反)트럼프’를 외쳤다. 식전 진행된 레드카펫 행사에서 배우들은 파란색 리본을 달고 등장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이민법 행정명령에 반대하는 미국시민자유연맹(ACLU)을 지지한다는 뜻을 담은 것이었다.
트럼프 정책에 반발해 아카데미에 불참한 이란의 아쉬가르 파르하디 감독은 ‘세일즈맨’으로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고 서면으로 수상소감을 전했다. 그는 “오늘날 세계를 분리시키는 행동은 곧 전쟁을 의미한다. 전 세계의 공감이 필요한 시기”라고 호소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라라랜드? 문라이트? #멘붕 #트럼프OUT [89th 아카데미]
입력 2017-02-27 2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