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특검도 헌재도 끝내 거부… 이젠 여론전으로 지지층 결집?

입력 2017-02-28 00:03

박근혜(사진)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까지 남은 기간 여론전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헌재 최종변론이 마무리됐고 특검 수사도 종료되는 만큼 박 대통령이 장외에서 본격적으로 지지층 결집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

우선 거론되는 방안은 기자간담회 등 추가 메시지 발표다. 박 대통령은 헌재 최종변론에 출석하지 않아 직접 진술 기회를 놓쳤다. 물론 서면으로 탄핵소추의 부당성과 심판 절차상 문제점을 지적했지만 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는 건 파급력이 다르다는 게 여권의 평가다. 이 때문에 청와대 참모들은 박 대통령의 입장 표명을 조심스럽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27일 “당분간은 헌재 최종변론에 대한 반응과 정치권 상황을 지켜보겠다”고 말을 아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야권의 탄핵 움직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겠다는 얘기다.

탄핵 반대 총동원령이 예상되는 보수단체의 3·1절 집회도 여론 향방을 가를 변수로 꼽힌다. 이번 집회에 촛불집회에 버금가는 인원이 모이거나 예상치 못한 충돌이 일어날 경우 불똥이 어디로 튈지 예측하기 어렵다. 여권 일각에선 박 대통령이 3·1절 집회 즈음해 입장을 발표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헌재 선고 전 박 대통령의 자진사퇴 가능성도 아예 배제할 수는 없다. 청와대의 강력 부인에도 불구하고 자진사퇴설은 여당을 넘어 야권에서도 공공연하게 거론되고 있다. 국민의당 한 의원은 “박 대통령이 선고 하루 이틀 전에 사퇴하고 대선에 영향을 끼쳐선 안 된다며 검찰 수사까지 미룰 수 있다”고 경계했다. 이어 “특검이 종료된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사퇴하면 검찰도 전직 대통령 예우를 받는 박 대통령을 구속 기소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 대리인단은 재심 청구 등 헌재 선고 불복 가능성을 내비쳤지만 청와대는 선을 그었다. 한 관계자는 “탄핵심판은 단심제”라며 “현 시점에서 재심 청구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청와대 내부에선 탄핵 기각을 기대하는 분위기도 여전히 강한 것으로 전해졌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