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가 27일 이사회를 열고 성주골프장과 국방부 소유 경기도 남양주 땅을 맞교환키로 승인한 것은 지난해 11월 양측 합의에 따른 법적 절차의 성격이 짙으나 실제로는 고육지책의 결과다. 롯데 측은 사드 배치가 국가안보 차원에서 이뤄지는 사안이다보니 마냥 기피하거나 거부할 수 없었을 것이고 한편으로는 중국의 무역 보복을 무시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성주골프장이 계약 주체로 나서고, 국방부가 이사회 결과를 발표한 점에서 이런 롯데의 고민이 단적으로 드러난다.
실제로 롯데그룹은 현재 15개 중국 현지법인이 150개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고용 인원은 2만2000명에 달한다. 투자 규모는 약 10조원으로 연간 3조원 안팎의 매출을 올린다. 또 롯데 면세점의 주요 고객 역시 중국 여행객이다. 롯데가 이번 결정을 단순한 부지 맞교환의 문제가 아니라 그룹의 성패를 가늠할 미래전략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으로 인식하는 이유다. 중국 롯데의 실패가 바로 롯데의 실패라고 할 수 없으나 중국은 그야말로 글로벌 전략 사업장이고 핵심 사업 파트너다. 한국 롯데와 중국 롯데가 따로따로일 수 없는 셈이다.
여전히 사드 필요성과 효용성에 관련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이미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이고, 롯데 측도 이사회까지 거쳤으니 논외로 치자. 그러나 단순히 기업의 경영적 기준에서 보면 리스크가 매우 큰 결정임이 분명하다. 중국이 롯데 측에 치졸한 무역 보복을 해왔고, 앞으로도 보복의 강도가 심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기업의 희생이 일정 부분 필요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기업의 희생이 무조건적으로 강요돼선 안 된다. 부지 맞교환과 관련, 시장가치와 리스크가 반영돼야 함은 물론이다. 이제 정부의 역할은 명확하다. 기업에 대한 보호 조치와 함께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중국도 더 이상 몽니를 부려선 안 된다.
[사설] 이제 사드 논란 끝내고 후유증 최소화에 적극 나서야
입력 2017-02-27 1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