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가 탄핵심판 선고 전 대선 경선 후보토론회를 단 한 차례만 치르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자 후발 주자들이 ‘공정성’ 문제를 제기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첫 토론회를 TV가 아닌 라디오로 선정해 후보 진영 간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2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청년당 창당준비위원회 발기인대회’에 참석한 뒤 언론 인터뷰에서 “다른 선거운동은 다 하면서 국민에게 가장 필요한 토론을 회피하는 것은 편향된 당의 결정”이라고 반발했다. 그는 “TV 예능 프로그램에도 참여하는데 생방송 (TV) 토론회만 안 된다는 건 국민 기만”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탄핵 전 토론회가 라디오로 이뤄지는 데 대해서도 “왜 라디오만 하는가. 영상 토론을 줄인 것은 국민의 선택권을 침해하는 불공정한 처사”라고 했다.
민주당 선관위는 당초 라디오와 인터넷 매체 등 복수의 채널을 통해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이뤄지기 전에 최대 3차례 토론회 개최를 고려했다. 하지만 ‘탄핵심판 주간에 토론회를 잡기엔 정치적으로 부담스럽다’는 이유에서 라디오 토론회 한 차례만 열기로 지난 24일 결론냈다.
당 결정에 대해 안희정 충남지사 측도 26일 “첫 토론회를 주목도가 떨어지는 라디오로 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당의 결정”이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그는 “라디오만 하고 인터넷 매체는 안 하면 매체 간 형평성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민주당 대선 경선은 지난 두 차례(2007년, 2012년)와 달리 예비경선 토론회가 없다. 잠정 후보군의 연이은 불출마로 예비 후보가 4명에 불과해 컷오프가 없기 때문이다. 조기 대선 국면까지 고려하면 토론회 횟수는 앞선 두 경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다. 2012년에는 예비경선 5회와 본경선 8회(당 주관 2회, 방송사 초청 6회), 2007년에는 예비경선 1회(인터넷 생중계 토론), 본경선 11회의 토론회가 열렸다.
하지만 탄핵심판 이전 토론회 개최를 최소화하겠다는 당의 결정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당 선관위가 ‘탄핵 집중’을 이유로 토론회에 적극적이지 않은 문재인 전 대표의 손을 사실상 들어줬다는 비판까지 나온다. 당 선관위는 논란이 확산되자 3일 라디오 토론회에 이어 6일 인터넷 매체 토론회를 1회 추가해 탄핵심판 이전 총 2회의 토론회를 개최하기로 26일 결정했다.
글=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민주당 ‘탄핵 전 토론회 1회’ 잡음에 1회 추가
입력 2017-02-27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