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예비창업부터 창업 후까지 성장단계별로 스타트업(창업 초기기업)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창업정책을 전환한다. 이를 위해 오는 5월 단일 창업보육기관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인 서울창업허브를 개관한다. 또 올해 1000개 스타트업을 선정해 육성하고 유망 창업기업에는 최대 1억원까지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타트업 허브도시 2단계 발전전략’을 발표하고 유니콘 기업의 탄생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유니콘기업은 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을 말한다.
시는 우선 창업 생태계의 핵심이 될 서울창업허브를 오는 5월 개관할 예정이다. 마포구 공덕동 옛 산업인력공단 건물 2개 동을 리모델링해 문을 여는 서울창업허브는 연면적 2만3659㎡로 단일 창업보육기관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서울창업허브는 중앙정부, 민간, 시 산하 창업기관 등으로 흩어져 있는 창업지원정책과 창업관련 정보를 하나로 연계해 종합지원하게 된다. 누구나 아이디어만 갖고 방문해도 창업과 관련된 통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시는 또 창업 교육과 공간 제공에 중점을 둔 기존 지원 전략에서 벗어나 성장단계별로 창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초기 창업기업에는 기업당 1000만원, 창업 후 성장기업에는 2000만∼5000만원, 글로벌성장 창업기업에는 최대 1억원을 지원하는 등 올해 1000개 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유망 창업기업에 대해서는 3개월에서 최장 3년의 입주기간 동안 전방위 창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는 또 기존 24개 창업지원센터를 특성화해 업종별, 기능별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했다. 강남구 개포디지털혁신파크 내 창업센터는 민간연계 ICT 창업을, 서울먹거리창업센터는 농업과 기술융합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성동구 서울재사용플라자는 재사용·업사이클 분야 산업을 육성하고 친환경 자원순환 관광명소로 조성한다.
서동록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장은 “1단계 창업정책을 성장단계별로 지원하는 2단계로 업그레이드 했다”며 “서울창업허브와 서울 전역의 24개 센터를 통해 창업을 희망하는 누구나 아이디어만 있어도 창업과 관련한 모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운영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시는 1995년 전국 최초로 신기술창업센터를 개관하고 2009년부터 창업지원정책을 본격화해 2010년 13개(연면적 12만5000㎡)였던 창업지원 인프라를 올해 35개(18만㎡)로 확대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창업기업 6000개가 지원을 받았고 1500억원의 매출과 1만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거뒀다고 덧붙였다.
글=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
‘서울창업허브’ 5월 개관… 1000개 기업 육성
입력 2017-02-26 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