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경영 쇄신안 마련에 조기 착수한다. 이재용 부회장 구속으로 인한 경영 공백이 길어져서는 안 된다는 분위기가 내부적으로 확고하다.
23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4일 이사회에서 각종 기부·후원금에 대한 이사회 의결 기준을 10억원으로 낮추는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삼성전자는 500억원 이상의 기부금에 대해서만 이사회 내의 경영위원회 의결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이 기준을 대폭 낮추는 것은 ‘최순실 국정농단’ 같은 사태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기부금 결정 과정에 사외이사를 참여시키는 안도 검토 중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다양한 쇄신안을 논의 중이지만 확정된 바는 없다”는 입장이다.
이 부회장이 청문회에서 약속했던 미래전략실(미전실) 해체도 예정대로 진행한다. 특검이 연장되지 않고 28일 끝날 경우 이르면 3월 미전실이 사라질 가능성도 있다. 특검이 연장될 경우 미전실 해체는 늦어지게 된다.
미전실 해체에 따라 일부 사장단 인사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전실에는 사장급 이상만 5명이 있기 때문에 계열사로 복귀하는 등 인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일단 사장단 인사가 논의되면 인사폭은 예상보다 커질 수도 있다. 미전실 임직원들은 모두 원래 소속 계열사로 돌아간다.
삼성은 미전실 해체 이후 계열사별로 자율경영과 이사회 활동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미전실이 담당했던 계열사 간 업무조정 등의 기능은 삼성전자·물산·생명 등에서 분담할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삼성 쇄신안은 이 부회장 구속으로 상당 기간 보류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이 부회장을 포함해 그룹 핵심 경영진이 모두 특검 수사를 받는 상황이라 섣불리 쇄신안을 내놓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 부회장이 기소돼 재판을 받을 경우 1심이 끝나는 5월이나 돼야 멈춰진 경영 시계가 다시 작동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구속 중인 이 부회장의 의지가 명확하고 삼성 내부에서도 회사를 정상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삼성, 경영쇄신 시동… 이르면 내달 미전실 해체 10억 이상 출연 땐 이사회 의결 의무화
입력 2017-02-24 0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