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충남지사와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 간 ‘중도 제로섬 게임’이 시작됐다. 여권 유력 대선 주자의 부재로 중도층 표심이 표류하면서 두 잠룡 간 희비 역시 엇갈리는 형국이다.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20∼22일 전국 유권자 15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응답률 9.4%, 95% 신뢰수준에 ±2.5% 포인트)에서 안 지사는 전주 대비 1.2% 포인트 하락한 19.2%, 안 전 대표는 1.7% 포인트 상승한 10.5%의 지지율을 기록했다(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안 지사의 지지율 하락분을 안 전 대표가 대부분 흡수한 것으로 분석된다.
안 지사 지지율 20%와 안 전 대표 지지율 10%는 중요한 정치적 표석이다. 안 지사는 20% 지지율을 유지해야 문 전 대표 추격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고, 안 전 대표는 두 자릿수 지지율이 대선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안 지사와 안 전 대표 모두 중도 진영을 확장성의 기반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두 사람의 협치 범위나 정책 우선순위, 정치적 뿌리 등은 확연히 다르다.
최근 드러난 가장 큰 차이점은 협치의 범위다. 안 지사는 지난달 ‘대연정’ 발언으로 정치적 승부수를 띄웠다. 안 지사는 “개혁에 동의한다면 자유한국당 등 보수정당과의 연정도 가능하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반면 안 전 대표는 “자유한국당은 물론 바른정당과의 정치적 연대는 없다”며 분명한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야권 관계자는 23일 “안 전 지사는 포용성을, 안 전 대표는 선명성을 중도 공략으로 내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탄핵정국 대응 방식도 엇갈린다. 안 전 대표는 지난해 말 대선 주자 가운데 처음으로 박근혜 대통령 사퇴와 탄핵 표결 등을 요구하며 강경 대응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이 시작된 이후엔 “정치권이 사법부를 압박해선 안 된다”며 촛불집회에도 참가하지 않고 있다. 안 지사는 지난해 ‘탄핵 열풍’ 당시 충남 도정에 갇혀 이재명 성남시장의 ‘상한가’를 바라봐야 했다. 그러나 최근엔 더불어민주당의 ‘탄핵 집중 전략’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안 지사는 이날 국회 토론회에서 박 대통령 자진 사퇴론에 대해 “정치적으로 대화하고 타협할 시간은 지났다”면서도 “헌법절차(탄핵심판)에 들어가면 결과에 승복해 단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치적 뿌리도 상반된다. 안 지사는 ‘친노(친노무현) 적자’를 내세우면서도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와 적통 경쟁을 벌이고 있다. 캠프도 2002년 노 전 대통령 선거 당시 ‘금강팀’ 멤버가 핵심이다. 안 전 대표는 2012년 대선에서 ‘새 정치’를 내세우며 독자 세력으로 대선 문턱까지 올랐다. 이후 내리막길을 걸었지만 지난해 4·13총선에서 ‘제3정당’ 실험에 성공하며 ‘대권 재수’의 기틀을 마련했다.
정책 우선순위도 다르다. 안 지사는 최근 ‘1호 공약’으로 대기업 불공정거래 근절 등을 내걸었다. 안 전 대표는 학제 개편안 등 ‘교육혁명’에 올인하고 있다.
글=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
안희정 내려가니 안철수 올라오네… 지지율 전쟁 ‘중도 제로섬 게임’
입력 2017-02-24 05:01